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2728 추천 수 0
◎ 大風瘡 ○ 脈風成爲癩癩者榮衛熱腐其氣不淸故使鼻柱壞而色敗皮膚瘍潰[內經] ○ 大風之源有三種五死一種風水二種傳變三種者自不調攝 ○ 五死者一曰皮死麻木不仁二曰肉死割切不痛三曰血死潰爛成濃四曰筋死手足脫落五曰骨死鼻梁崩?眼斷脣?聲啞 ○ 又曰一風者肺受病先落眉毛二風者肝受病面起紫疱三風者腎受病脚底先穿四風者脾受病遍身如癬五風者心受病先損其目 ○ 或有墳墓居址風水不吉或父母夫妻家人?相傳染或在外不謹糞坑房室床鋪衣被橋上樹下歇息去處命値委死凶星遭此惡疾宜服消風散追風散磨風元兼用洗藥敷藥[?然子] ○ 大風病是受得天地間殺物之風古人謂之?風者以其酷烈暴悍可畏也得之者須分在上在下夫在上者以醉仙散取臭涎惡血於齒縫中出在下者以通天再造散取惡物?積於穀道中出所出雖有上下之殊然皆不外乎陽明一經盖陽明者胃與大腸無物不受乃脾肺二藏之府也脾主肌肉而肺主皮毛乃府及於藏病也[丹心] ○ 服藥下?積後用防風通聖散(方見風門)調之重者又與換肌散夫上下同得者甚重自非醫者神手病者鐵心罕能免此若遇此疾切須戒鹽及一切口味公私世務悉宜屛去[丹心] ○ 此疾雖治得愈若不絶味斷慾皆不免再發而終於不救孫眞人曰嘗治四五百人終無一人免於死非眞人不能治盖無人能守禁忌耳[丹心] ○ 初起白屑紫雲如?風然或有遍身白皮脫落如蛇?狀[得效] ○ 起白屑者白花蛇丸眉鬚落者三蛇丹鼻崩者換肌散補氣瀉榮湯通用凌屑花散加味苦參丸換骨丸大麻風丸紫雲風丸返魂追命再造散烏蛇苦參元可選用[諸方] ○ 治癩以蒼耳葉爲君更以酒煮烏?魚代補蛇之或缺爲末糊丸梧子大茶淸下七八十丸更入紫萍尤捷數月而安[丹心] ○ 服藥?後終身不得食牛馬驢?等肉犯者復發必死[得效]

☞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 혈맥에 풍사가 들어가서 문둥병이 생기는데 문둥병은 영위(榮衛)에 열이 있어 썩어져 그 기운이 깨끗하지 못하기 때문에 콧마루가 썩어 내려앉고 빛깔이 나빠지면서 피부가 헐어 터지게 된다[내경]. ○ 문둥병이 생기는 원인은 3가지이고 또 5가지 죽을 증상이 있다. 3가지 원인으로 생긴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는 풍수(風水)㈜로 생기는 것이고 둘째는 다른 병이 전변(傳變)되어 생기는 것이며 셋째는 자신이 조섭을 잘하지 못하여 생기는 것이다. [註] 풍수(風水): 사람이 살고 있는 지대에 따라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생긴다는 것으로 설명한 과학적 근거가 없는 말이다. ○ 5가지 죽을 수 있는 증상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는 피부가 상하여 뻣뻣해지면서 감각을 모르는 것이고 둘째는 살이 상(傷)하여 칼로 베내도 아픈 것을 모르는 것이며 셋째는 피가 상하여 진물면서 고름이 생기는 것이고 넷째는 힘줄이 상하여 손발이 진물어 떨어지는 것이고 다섯째는 뼈가 상하여 콧마루가 내려앉고 눈이 삐뚤어지며 입술이 뒤집히고 목소리가 쉬는 것이다. ○ 또한 5풍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 첫째는 폐(肺)가 먼저 풍을 받아 눈썹이 먼저 빠지는 것이고 둘째는 간(肝)이 먼저 풍을 받아 얼굴에 자줏빛이 나는 것이 부풀어 오르는 것이고 셋째는 신(腎)이 먼저 풍을 받아 발바닥이 먼저 진물어 뚫어지는 것이고 넷째는 비(脾)가 먼저 풍을 받아 온몸에 버짐 같은 것이 생기는 것이고 다섯째는 심(心)이 먼저 풍을 받아 먼저 눈이 상하는 것이다. ○ 혹은 풍수가 좋지 못한 곳에서 살아서 생기는 것도 있고 부모나 부부, 가족들 사이에 서로 옮는 것도 있고 혹은 밖의 더러운 곳에서 담요를 펴고 이불을 덮고 있었거나 다리 위나 나무 밑에서 쉬는 것을 삼가 하지 않았거나 이런 병으로 죽은 사람한테 가 있어도 생긴다. 소풍산(消風散)이나 추풍산(追風散)이나 마풍원(磨風元)을 먹는 것이 좋은데 겸하여 씻는 약과 붙이는 약을 써야 한다[수연자]. ○ 문둥병은 천지 간에 있는 생물을 죽이는 풍사를 받으면 생긴다. 옛사람들이 여풍(?風)이라고 한 것은 그 독이 몹시 혹독하고 무서운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병에 걸렸을 때에는 반드시 그 병사가 상체에 침범하였는가 하체에 침범하였는가를 구분해야 한다. 병사가 상체에 침범하였을 때에는 취선산을 먹어야 한다. ○ 그러면 잇몸에서 궂은 피[惡血]와 냄새 나는 침이 나오게 된다. 하체에 침범하였을 때에는 통천재조산을 먹어야 한다. 그러면 항문으로 궂은 물[惡物]과 충적(忠積)이 나온다. 이와 같이 위나 아래로 나오는 것은 비록 다르나 다 양명경(陽明經) 1개 경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양명이란 위경(胃經)과 대장경(大腸經)이므로 무슨 음식이나 다 섭취하는 경맥인데 이것은 비(脾)와 폐(肺) 2장기와 배합되는 부(府)이다. 그런데 비는 살[肉]을 주관하고 폐는 피모(皮毛)를 주관하므로 부(府)의 병이 장(藏)에 미치게 된다[단심]. ○ 약을 먹어 충적을 밀어낸 다음에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風)문에 있다)을 먹고 조리해야 한다. 병이 심하면 환기산(換肌散)을 또 먹어야 한다. 상체와 하체에 병이 다 생기면 몹시 중하다. 이것은 의사의 의술이 뛰어나지 못하고 환자가 굳은 결심이 없으면 치료하기 어렵다. 만일 이 병에 걸렸을 때에는 소금, 기름진 음식, 자극성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공적인 일이나 사적인 일도 다 삼가하여야 한다[단심]. ○ 병이 다 나은 다음에도 음식을 가리지 않거나 성생활을 금하지 않으면 다시 도져서 죽을 수 있다. 손진인(孫眞人)이 문둥병 환자를 4백-5백명 치료하였으나 결국 한 사람도 살리지 못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손진인이 고치지 못한 것이 아니라 환자들이 금해야 할 것을 잘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단심]. ○ 문둥병이 생긴 초기에 흰 비듬과 자줏빛 무늬가 생기는 것은 전풍(殿風) 때와 비슷하다. 그리고 또 온몸에 흰 껍질이 벗겨지는데 뱀허물처럼 벗겨진다[득효]. ○ 문둥병 초기에 흰 비듬이 생기는 데는 백화사환을 쓰고 눈썹과 수염이 빠지는 데는 삼사단을 쓰며 콧마루가 내려앉는 데는 환기산, 보기사영탕 등을 쓴다. 그리고 능소화산, 가미고삼환, 환골환, 대마풍환, 자운풍환, 반혼추명재조산, 오사고삼원 등도 고루 쓰는데 여기에서 알맞는 것을 골라쓰면 좋다[저방]. ○ 문둥병을 치료하는 데는 도꼬마리잎(蒼耳葉)을 주약으로 하여 술에 달인 가물치(烏?魚, 백화사 대신 쓴다)와 함께 가루내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한번에 70-80알씩 찻물로 먹는다. 뒷면이 자줏빛인 개구리밥(紫萍)을 넣으면 효과가 더 좋은데 이것을 쓰면 두어 달 내에 낫는다[단심]. ○ 약을 먹고 완전히 나은 다음에도 일생 동안 쇠고기, 말고기, 노새고기, 당나귀고기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이것을 금하지 않으면 도져서 반드시 죽는다[득효]. 

? 消風散 ○ 第一日服白芷全蝎人參各一兩右爲末每二錢勿食晩飯次日空心溫酒調下身上微燥爲效[類聚]
☞ 소풍산(消風散) ○ 문둥병을 치료하는데 첫날에 먹는 약이다. ○ 백지, 전갈, 인삼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먹는데 저녁밥을 먹지 않고 있다가 다음날 아침 빈속에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먹은 다음 온몸이 약간 마르는 것 같이 되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유취]. 

? 追風散 ○ 第二日服瀉血追?錦紋大黃六兩鬱金蟬?者一兩八錢炒?角刺一兩半右爲末初服五錢或六錢入大風油一錢半朴硝少許入內好溫酒一椀調化五更空心服之直待辰時又如前調藥一椀入熟蜜少許勿令患人知先以水?漱淨然後服藥必以蜜解口切不可臥良久痛瀉數次不妨以薄粥補之 ○ 此藥老弱者難治五十以下者可治精壯者十日內三服謂如正月初一日服消風散初二日服追風散初三日服磨風丸又如此周而復始瘦弱者十日內一服[類聚]
☞ 추풍산(追風散) ○ 문둥병을 치료하는데 두번째 날에 먹는 약이다. 궂은 피와 충적(蟲積)을 밀어낸다. ○ 대황 240g, 울금(매미 배처럼 생긴 것) 72g, 조각자(볶은 것) 6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처음에 20-24g을 대풍자유 6g, 망초 조금과 섞어 데운 술 1사발에 타서 새벽 빈속에 먹인다. 그리고 기다렸다가 7-9시쯤 되어 또 같은 방법으로 1사발을 만들어 졸인 봉밀을 조금 넣어서 환자가 무슨 약인지 알지 못하고 먹게 하되 먼저 물로 깨끗하게 양치질한 다음 약을 먹게 해야 한다. 그 다음 환자가 절대로 눕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러면 좀 지나서 배를 아파하면서 설사를 몇 번 한다. 그 다음 미음을 먹여 보해야 한다. ○ 이 약을 늙은이나 허약한 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 50살 아래의 환자는 먹을 수 있다. 건장한 환자는 10일 사이에 세번 먹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월 초하룻날 소풍산을 먹고 2일에 추풍산??? 3일에 마풍환을 먹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와 같이 반복하여 먹는 것을 허약한 환자는 10일 이내 한번만 먹어야 한다[유취]. 

? 磨風丸 ○ 第三日服日進二次當歸羌活獨活川芎天麻細辛防風荊芥威靈仙麻黃何首烏蔓荊子牛蒡子車前子皺面草(卽??也)蒼耳草各一兩又?乾爲末酒麵糊和丸梧子大溫酒下五七十丸日二服仍用後藥熏洗?付[類聚]
☞ 마풍환(磨風丸) ○ 문둥병을 치료하는데 셋째날에 먹는 약이다. ○ 당귀??? 강활??? 독활??? 천궁??? 천마??? 세신??? 방풍??? 형개, 위령선??? 마황??? 하수오??? 순비기열매(만형자), 우엉씨(우방자), 차전자, 추면초(즉 희렴이다), 도꼬마리풀(창이초)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서 술로 쑨 밀가루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에 하루 두번 먹고 이어 아래의 김을 쏘이면서 씻는 약과 붙이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 洗藥 ○ 治滿身瘡爛地骨皮荊芥苦參細辛各二兩右?以河水煎用大桶盛浸浴熏洗通身出血爲效[類聚]
☞ 씻는 약[洗藥] ○ 온몸이 헐어서 헤쳐진 것을 치료한다. ○ 지골피??? 형개, 고삼,세신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강물에 달여 큰 그릇에 부어놓고 거기에 들어앉아 씻으면서 김을 쏘이는데 피가 나올 때까지 해야 한다[유취]. 

? 敷藥 ○ 治瘡爛遍身黑狗脊(卽貫衆也)寒水石硫黃白礬枯各二兩蛇床子一兩朴硝五錢右爲末臘猪脂調付妙[類聚]
☞ 붙이는 약[敷藥] ○ 온몸이 헐어서 헤쳐진 것을 치료한다. ○ 쇠고비(흑구척, 즉 관중이다), 한수석??? 유황??? 백반(구운 것) 각각 80g??? 사상자@) 40g??? 박초 20g. ○ 위의 약들을 함께 가루내서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붙이면 좋다[유취]. 

? 浴法 ○ 治遍身癩瘡桃柳桑槐楮五般枝多水濃煎湯盛大桶浸坐沒頸一日?湯如油安矣[正傳]
☞ 목욕하는 방법[浴法] ○ 문둥병으로 온몸이 헌 것을 치료한다. ○ 복숭아나무가지, 버드나무가지, 뽕나무가지(상지), 홰나무가지, 닥나무가지. ○ 위의 약들을 걸쭉하게 달여서 큰 나무통에 붓고 거기에 하루 동안 목까지 잠기게 들어앉아서 물이 기름처럼 될 때까지 씻으면 좋다[정전]. 

? 醉仙散 ○ 治大風癩瘡胡麻牛蒡子枸杞子蔓荊子各一兩同炒白?藜苦參瓜蔞根防風各五錢右細末每十五錢末入輕粉二錢拌勻每服一錢茶淸調下晨午夕各一服後五七日先於牙縫內出臭黃涎渾身疼悶如醉然後利下膿血惡臭氣病根乃去矣[丹心] ○ 服此藥時須斷鹽醬醋諸般魚肉油?燒灸之物只吃淡粥及煮熟時菜幷烏蛇白花蛇淡酒煮熟食之以助藥力[丹心]
☞ 취선산(醉仙散) ○ 문둥병으로 허는 것을 치료한다. ○ 참깨(호마), 우엉씨(우방자), 구기자, 순비기열매(만형자)(다 함께 볶는다) 각각 40g??? 백질려,고삼,과루근??? 방풍 각각20g. ○ 위의 약들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매 60g에 경분 8g씩 되게 섞는다. 한번에 4g씩 새벽??? 한낮, 저녁에 한번씩 찻물에 타 먹는다. 이 약을 먹으면 5-7일 지나서 잇몸에서 냄새가 나며 누런 침이 나오고 온몸이 아프면서 답답하고 술에 취한 것 같이 되며 설사로 악취가 나는 피고름이 나온 다음 병의 뿌리가 빠진다[단심]. ○ 이 약을 먹을 때 소금??? 장, 식초, 모든 고기??? 불에 구운 음식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오직 죽과 채소를 먹으면서 오사??? 백화사 같은 약을 술에 넣고 달여서 먹어 약의 작용을 도와주어야 한다[단심]. 

? 通天再造散 ○ 治同上?角刺黑大者一兩半大黃?一兩白牽牛頭末三錢炒三錢生鬱金五錢右爲末每二錢或三錢早晨面東好酒調下當日利下惡物或膿或?[入門] ○ 服藥後泄出?視其色如?黑色乃是多年赤色是爲近年三四日後又進一服直候無?乃止後取防風通聖散(方見風門)加苦參天麻蟬?煎服調理痛斷滋味[丹心]
☞ 통천재조산(通天再造散)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조각자(크고 검은 것) 60g,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40g??? 백견우(맏물가루[頭末]를 내어 볶은 것 12g, 생것12g), 울금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이른 새벽 술에 타서 먹으면 그 날로 설사가 나면서 궂은 것[惡物]과 고름 또는 충(蟲)이 나간다[입문]. ○ 이 약을 먹은 다음 검은 충이 나오면 병이 여러 해 된 것이고 벌건 것이 나오면 오래지 않은 것이다. 3-4일 후에 다시 먹되 충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먹은 다음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에 고삼,천마, 선퇴(선태) 등을 넣어 달여 먹으면서 조리하고 기름진 음식을 절대로 금해야 한다[단심]. 

? 換肌散 ○ 治大風年深毛脫鼻?深重者取效如神烏蛇白花蛇地龍各一兩當歸細辛白芷天麻蔓荊子威靈仙荊芥穗甘菊苦參紫參沙參木賊不灰木甘草灸白?藜天門冬赤芍藥赤箭何首烏石菖蒲胡麻子草烏蒼朮木鱉子川芎各三錢半右爲末每五錢溫酒調下酒多爲妙其中紫參不灰木雖無不妨[正傳]
☞ 환기산(換肌散) ○ 문둥병이 여러 해 되어 털이 빠지고 코가 내려앉는 등 중해진 것을 치료한다. ○ 오사??? 백화사, 지룡@) 각각 40g??? 당귀, 세신??? 백지, 천마, 순비기열매(만형자), 위령선??? 형개수??? 단국화(감국), 고삼,자삼??? 사삼??? 목적,불회목??? 감초(볶은 것), 백질려,천문동, 작약, 천마싹(적전), 하수오, 석창포, 참깨(호마), 초오,창출??? 목별자, 천궁 각각 14g. ○ 위의 약들을 함께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술이 많을수록 좋다. 위의 약 가운데서 자삼??? 불회목은 없어도 괜찮다[정전]. 

? 補氣瀉榮湯 ○ 治癩風先?瘡上令惡氣消盡後服此藥連翹升麻各六分桔梗五分黃芩生地黃各四分黃?蘇木黃連地龍全蝎當歸各三分白豆?人參各二分甘草一分半胡桐淚一分麝香少許桃仁三箇爲泥?蟲炒水蛭炒各三箇爲末右?除胡桐淚麝香??水蛭?末外都作一貼水二盞酒一盞煎至一盞去滓入細末藥煎至七分早飯後午飯後服之[東垣]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문둥병 때 먼저 침으로 헌데를 찔러서 나쁜 기운을 없앤 다음에 이 약을 먹어야 한다. ○ 연교, 승마 각각 2.4g, 길경2g, 황금, 생지황 각각 1.6g, 황기, 소목??? 황련, 지룡,전갈, 당귀 각각 1.2g, 백두구, 인삼 각각 0.8g, 감초 0.6, 호동루 0.4g, 사향 조금, 도인 3알(풀지게 짓찧는다), 맹충(볶은 것), 수질(볶은 것) 각각 3개(가루낸다). 다음 나머지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 2잔에 술 1잔과 함께 넣고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따로 부드럽게 가루낸 약들을 넣고 다시 7분쯤 되게 달여 아침끼니 뒤와 점심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 凌?花散 ○ 治癩風神效蟬殼地龍炒白?蠶全蝎炒各七箇凌?花五錢各爲末每二錢熱酒調下[丹心]
☞ 능소화산(凌?花散) ○ 문둥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 선퇴(선각), 지룡(볶은 것), 백강잠, 전갈(볶은 것) 각각 7개, 능소화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뜨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 加味苦參丸 ○ 治大風瘡苦參四兩防風荊芥蒼耳子胡麻子?角刺各二兩半蔓荊子牛蒡子枸杞子何首烏禹餘粮蛇床子右七錢半白芷四錢右爲末?角煎膏和丸梧子大茶淸或酒下五十丸[入門]
☞ 가미고삼환(加味苦參丸) ○ 문둥병을 치료한다. ○ 고삼@) 160g, 방풍, 형개, 도꼬마리씨(창이자), 참깨(호마), 조각자@) 각각 100g, 순비기열매(만형자), 우엉씨(우방자), 구기자, 하수오, 우여량, 사상자@) 각각 30g, 백지 16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조협을 고약처럼 되게 달인 데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찻물이나 술로 먹는다[입문]. 

? 換骨丸 ○ 治癩風苦參浮萍各一兩半大黃槐花白芷川芎各一兩二錢半蒼朮一兩乳香沒藥沈香木香各三錢麝香五分右爲末以麻黃五斤煎膏和丸彈子大每一丸溫酒化下忌風二三日[入門]
☞ 환골환(換骨丸) ○ 문둥병을 치료한다. ○ 고삼,개구리밥(부평초) 각각 60g, 대황, 괴화, 백지, 천궁 각각 50g, 창출 40g, 유향, 몰약, 침향, 목향 각각 12g, 사향 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마황 3kg을 고약처럼 되게 달인 데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 먹고 2-3일 동안 바람을 쏘이지 말아야 한다[입문]. 

? 大麻風丸 ○ 治大麻風初起遍身瘡點五色不知痛痒麻木證苦參一斤羌活獨活白芷白斂白?藜天花粉何首烏各一兩三錢?角刺當歸各二兩七錢右爲末別用?角一斤?水煎五日去滓熬膏和丸溫酒下百丸[入門]
☞ 대마풍환(大麻風丸) ○ 문둥병 초기에 여러 가지 빛으로 헐면서 아프고 가려운 것과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너삼 600g, 강활, 독활, 백지, 가위톱, 남가새열매, 천화분, 하수오 각각 52g, 조각자,당귀 각각108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조협(조각) 600g을 썰어서 물에 5일 동안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고약처럼 되게 졸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 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입문]. 

? 紫雲風丸 ○ 治癩初起如紫雲?風或發紫血疱瘡何首烏四兩五加皮白?蠶苦參當歸各二兩全蝎一兩半惡實羌活獨活白芷細辛生地黃防己黃連赤芍藥蟬退防風荊芥蒼朮各一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七十丸[入門]
☞ 자운풍환(紫雲風丸) ○ 문둥병 초기에 자줏빛 무늬가 나는 것이 전풍(?風) 같거나 자줏빛의 피가 몰리며 부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 하수오 160g, 오가피, 백강잠, 고삼,당귀 각각 80g, 전갈 60g, 악실,강활, 독활, 백지, 세신, 생지황, 방기, 황련, 작약, 선퇴, 방풍, 형개, 창출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술로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 返魂追命再造散 ○ 治大風癩?角刺一兩半大黃一兩右爲末每二錢冷酒調下瀉?出[直指] ○ 一方治大風勢重不可救者?角刺一二斤九蒸九?硏爲末食上濃煎大黃湯調下一錢一旬鬚髮再生肌膚悅潤眼明倍常其效如神[本草]
☞ 반혼추명재조산(返魂追命再造散) ○ 문둥병을 치료한다. ○ 조각자@) 60g, 대황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찬 술에 타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벌레가 나온다[직지]. ○ 또 한 가지 처방은 문둥병으로 위급해진 것을 치료하게 되어 있는데 조각자@) 0.6-1.2kg을 아홉번 찌고 햇볕에 말려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대황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이 약을 10일간 먹으면 빠졌던 수염과 머리털이 다시 나오고 피부가 윤택해지며 눈이 평소보다 더 밝아지는데 그 효과가 신기하다[본초]. 

? 烏蛇苦參元 ○ 治癩風及惡癬苦參一斤半烏蛇肉八兩石菖蒲四兩右爲末蜜丸梧子大茶淸下百丸[集成]
☞ 오사고삼원(烏蛇苦參元) ○ 문둥병과 잘 낫지 않는 버짐을 치료한다. ○ 고삼@) 900g, 오사육 300g, 석창포 16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찻물로 먹는다[집성]. 

? 愈風丹 ○ 治癩疾深重一名三蛇丹治大風髮脫眉落遍身麻木瘡爛烏蛇白花蛇土挑蛇各一條?酒浸三日取肉爲末苦參一斤?搗取頭末四兩?角濃煎汁熬膏和丸梧子大以防風通聖散煎水呑下五十丸日二[入門]
☞ 유풍단(愈風丹) ○ 문둥병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일명 삼사단(三蛇丹)이라고도 한다. 문둥병으로 머리털과 눈썹이 빠지고 온몸에 감각이 없어지면서 헐어 진무는 것을 치료한다. ○ 오사, 백화사, 토도사 각각 1마리. ○ 위의 약들을 다 술에 3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고기만 발라내서 가루낸다. 다음 고삼@) 600g을 썰어서 맏물가루[頭末] 160g을 내어 약가루와 섞는다. 다음 조협을 고약처럼 되게 진하게 달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하루 두번 방풍통성산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태음인 소아 비염 치험례 by Irvine
  2. 명의방론 외과정종 소풍산 – 아토피피부염에 쓸 수 있는 소풍산②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외과정종 소풍산 – 아토피피부염에 쓸 수 있는 소풍산① by 한닥터
  4. 명의방론 虛性 비만에 활용되는 益胃升陽湯 by 한닥터
  5. 회원임상례 [등업용]아토피 치험례 by gksdmltk7
  6.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 두피염 모낭염 두피 통증 치료 케이스 by 지큐피드
  7. 임상 경험방 피부병 by 한닥터
  8. 임상 경험방 여드름 by 한닥터
  9. 임상 경험방 음주 내상 by 한닥터
  10. 회원임상례 (등업용) 60대 여성 피부 소양증 치험례 by 수당
  11. 저널 皮膚瘙痒症의 臨床的 考察 피부소양증의 임상적 고찰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방풍통성산 , 防風通聖散, Bangpungtongseong-san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소풍산 消風散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방풍통성산, 쌍해산 防風通聖散 by 한닥터
  15. 기본방 모음 174. 消風散(소풍산) by 한닥터
  16.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17. 기본방 모음 4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by 한닥터
  18. 회원임상례 (등업용) 이명환자 by 생의한가운데 *1
  19.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20. 기본방 모음 11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HK249 消風散(소풍산)(B)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HK131 消風散(소풍산)(A) by 한닥터
  23. 방약합편 HK073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by 한닥터
  24. 방약합편 294. 消風散(소풍산)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여러 가지 헌데[諸瘡]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나두창(癩頭瘡)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천포창(天疱瘡) by
  29. 동의보감 백라창(白癩瘡) by
  30. 동의보감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by 한닥터
  31. 동의보감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by 한닥터
  32. 동의보감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by 한닥터 *1
  39. 동의보감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병은 한(寒), 습(濕), 열(熱), 조(燥)에 불과하다[人病不過寒濕熱燥]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은진(?疹)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비사(鼻?)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鼻痔]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귀울이[耳鳴]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태풍적란(胎風赤爛)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풍기와편(風起喎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78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옹저(癰疽)]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癰疽嘔逆] 670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726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58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5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옹저(癰疽)]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413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39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옹저(癰疽)] 조리하는 방법과 금하는 것[調理及禁忌法] 356
[옹저(癰疽)] 단방(單方) 447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28
[제창(諸瘡)] 백라창(白癩瘡) 619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580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5
[제창(諸瘡)] 아장선(鵝掌癬)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