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단방(單方)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391 추천 수 0
只取一味, 或作丸, 或作末, 或煎湯服. 或丸, 或末, 每服二錢. 煎湯則每五錢.
단방은 한 가지 약재로 환을 만들거나 가루를 내거나 달여서 먹는 것이다. 환으로 먹거나 가루내어 먹을 때는 2돈씩 먹고, 달여서 먹을 때는 5돈씩 먹는다.
 
凡二十三種.
모두 23종이다.

 

 

1
 
 
 
久服輕身, 駐顔, 不老, 不飢. 根莖花實, 皆可服之. 採根, 先用滾水綽去苦汁, 九蒸九曝, 食之. 或陰乾搗末, 每日淨水調服. 忌食梅實. 《本草》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이 젊어지며, 늙지 않고 배고프지 않게 된다. 뿌리ㆍ줄기ㆍ꽃ㆍ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다. 뿌리를 캐어 먼저 끓인 물에 쓴 즙을 씻어내고 구증구포하여 먹거나, 그늘에 말린 뒤 찧어서 가루내고 매일 깨끗한 물에 타서 먹는다. 매실과 함께 먹는 것을 피한다. 《본초》

 

1
 
 
 
輕身, 延年不老. 取根, 泔浸一宿, 曝乾搗末. 以糯米粥入煉蜜, 和丸梧子大, 酒飮任下, 朝服三十丸, 夕服二十丸. 《本草》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한다. 뿌리를 쌀뜨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볕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 낸다. 찹쌀 죽에 졸인 꿀을 넣고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술이나 미음과 함께 임의로 먹는 데, 아침에는 30알, 저녁에는 20알씩 먹는다. 《본초》
2
菖蒲酒方. 菖蒲根, 絞汁五斗, 糯米五斗, 炊熟, 細麴五斤拌勻, 如常釀法, 酒熟澄淸久服. 通神明, 延年益壽. 《入門》
창포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석창포 뿌리 즙 5말에 찹쌀 5말을 넣고 삶은 후 고운 누룩 5근과 고루 섞는다. 술 빚는 일반적인 방법대로 숙성시켜 가라앉힌다. 그 윗물을 오래 복용하면 신명(神明)을 통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입문》

 

1
 
 
 
輕身, 耐老延年. 苗葉花根, 皆可服. 陰乾, 搗末, 酒調服. 或蜜丸久服. 《本草》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살게 한다. 싹ㆍ잎ㆍ뿌리ㆍ꽃을 모두 먹는다. 그늘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내어 술과 함께 먹거나 꿀로 환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는다. 《본초》
2
菊花酒方. 甘菊花ㆍ生地黃ㆍ枸杞根皮 各五升, 水一石, 煮取汁五斗. 糯米五斗, 炊熟, 入細麴, 和勻, 入瓮, 候熟澄淸溫服, 壯筋骨, 補髓, 延年益壽. 白菊花尤佳. 《入門》
국화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감국화ㆍ생지황ㆍ지골피 각 5되에 물 1섬을 넣고 5말이 될 정도까지 달인 후 이 물에 찹쌀 5말을 넣고 다시 삶는다. 익으면 고운 누룩을 넣고 함께 섞은 후 항아리에 담는다. 술이 익으면 가라앉힌 후 그 윗물을 데워 먹는다. 근골을 강하게 하고 골수를 보하며 수명을 늘린다. 흰 국화가 더욱 좋다. 《입문》

 

1
 
 
 
久服, 輕身延年, 不飢. 取根去皮心, 擣末, 和酒服. 或生擣絞汁, 煎爲膏, 和酒服, 一二匙. 漢甘始, 太原人, 服天門冬, 在人間三百餘年. 《本草》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이 늘어나며 배가 고프지 않게 된다. 뿌리를 캐어 껍질과 심을 제거하고 찧어서 가루를 낸 것을 술에 타서 먹는다. 혹은 생것을 찧어서 짜낸 즙을 졸여서 만든 고약을 1-2숟가락씩 술에 타서 복용한다. 한(漢)나라 때 태원(太原) 지방 출신인 감시(甘始)는 천문동을 먹고 300여 년을 살았다. 《본초》
2
天門冬酒方. 取根搗絞汁二斗, 糯米飯二斗, 拌細麴如常釀法, 候熟取淸飮. 乾者作末, 釀之亦可. 忌食鯉魚. 《入門》
천문동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뿌리를 캐어 찧어서 짜낸 즙 2말과 찹쌀밥 2말을 고운 누룩에 버무려 일반적인 방법으로 술을 숙성시킨 후 맑게 뜬 것을 마신다. 마른 것을 가루내어 술을 빚어도 된다. 잉어와 함께 먹는 것을 피한다. 《입문》

 

1
 
 
 
久服, 輕身, 不老. 採根, 洗擣絞汁, 煎令稠, 納白蜜, 更煎, 作丸如梧子, 空心, 酒下三十丸, 日三. 忌葱ㆍ蒜ㆍ蘿葍. 勿犯鐵器. 《本草》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뿌리를 캐어 씻은 뒤 찧어서 짜낸 즙을 걸쭉하게 졸인다. 꿀[白蜜]을 넣고 다시 졸여서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술로 30알씩 하루에 3번 빈속에 먹는다. 파ㆍ마늘ㆍ무와 함께 먹는 것을 피하며, 쇠그릇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초》
2
地黃酒方. 糯米一斗, 百度洗, 生地黃三斤細切, 同蒸, 拌白麴釀之, 候熟取淸飮. 《入門》
지황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찹쌀 1말을 100번 씻은 것과 생지황 3근을 얇게 썬 것을 함께 쪄서 흰 누룩에 버무려 숙성시킨 후 맑게 뜬 것을 마신다. 《입문》

 

 

1
 
 
 
 
 
煎餌久服, 輕身, 延年. 一名山精. 神農藥經曰, 必欲長生, 常服山精. 採根, 泔浸, 去黑皮, 炒搗作末, 一斤, 入蒸過茯苓八兩, 蜜丸服. 或取汁煎, 和酒服. 或煎令稠, 作丸服. 忌桃ㆍ李ㆍ雀ㆍ蛤ㆍ葱ㆍ蒜ㆍ蘿葍. 《本草》
달이거나 가루내어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이 늘어난다. 일명 산정(山精)이다. 《신농약경》에 "오래 살고자 한다면 늘 산정을 먹어야 한다"고 했다. 뿌리를 캐어 쌀뜨물에 담갔다가 검은 껍질을 벗긴다. 볶고 찧어서 가루 낸 것 1근에 찐 복령 8냥을 넣고 꿀로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먹는다. 혹은 즙을 내어 달인 물을 술과 함께 복용하거나 걸쭉하게 졸여서 환을 만들어 먹는다. 복숭아ㆍ자두ㆍ참새고기ㆍ대합조개ㆍ파ㆍ마늘ㆍ무와 함께 먹지 않는다. 《본초》
2
仙朮湯, 常服, 延年, 明目, 駐顔, 輕身, 不老. 蒼朮十九兩二錢, 棗肉六升, 杏仁二兩四錢, 乾薑炮五錢, 甘草(灸)五兩, 白鹽炒十兩. 右細末, 每二錢, 沸湯點服, 空心. 《局方》
선출탕(仙朮湯)을 늘 복용하면 수명이 늘어나고 눈이 밝아지며 얼굴이 젊어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는다. 창출 19.2냥, 대추살 6되, 행인 2.4냥, 건강(습지에 싸서 구운 것) 5돈, 감초(구운 것) 5냥과 백염(볶은 것) 10냥을 곱게 가루내어 2돈씩 끓인 물에 타서 빈속에 조금씩 먹는다. 《국방》

 

1
 
 
 
久服, 明目, 輕身, 延年. 酒浸曝乾蒸之, 如此九次, 搗爲末. 每二錢, 空心, 溫酒調服, 一日二次. 《本草》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수명이 늘어난다. 술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서 찌는 것을 9번 반복한다. 찧어서 가루내어 하루에 2번, 2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본초》

 

1
 
 
 
主百病, 長生神仙. 取百種草花, 陰乾搗末, 和酒服. 亦煮花汁, 釀酒服之. 《本草》
온갖 병에 주로 쓰고 오래 살아서 신선이 되게 한다. 온갖 종류의 풀꽃을 음지에서 말린 후 찧어서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는다. 꽃을 달인 물로 술을 빚어 먹기도 한다. 《본초》

 

1
 
 
 
久服, 黑鬚髮, 益精髓, 延年不老. 忌葱ㆍ蒜ㆍ蘿葍ㆍ無鱗魚. 勿犯鐵器. 《本草》
오래 먹으면 머리카락과 수염을 검게 하고 정수를 보하며, 수명을 늘리고 늙지 않게 한다. 파ㆍ마늘ㆍ무ㆍ비늘 없는 물고기와 함께 먹는 것을 피하며, 쇠그릇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본초》
2
取根, 米泔浸軟, 竹刀刮去皮切作片, 黑豆汁浸透, 陰乾. 却用甘草汁拌, 曬乾, 擣爲末, 酒服二錢, 或蜜丸服之.
뿌리를 쌀뜨물에 담가서 부드럽게 한 후 대나무 칼로 껍질을 벗겨내고 얇게 썰어서 검정콩 즙에 푹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다. 이것을 다시 감초즙과 섞어서 볕에 말리고 찧어서 가루 낸 후 2돈씩 술에 타서 먹는다. 혹 꿀로 환을 만들어 먹는다.
3
何首烏丸, 延年益壽. 取一斤, 泔浸, 曬乾, 切片, 以初男乳汁拌, 曬一二次, 搗末, 棗肉和丸梧子大. 初服二十丸, 日加十丸, 毋過百丸, 空心, 溫酒鹽湯下. 此藥, 非陽虛甚者, 不可單服. 《入門》
하수오환은 수명을 늘린다. 하수오 1근을 쌀뜨물에 담갔다가 볕에 말린 후 얇게 자른다. 첫 남자아이를 낳은 산모의 젖과 섞어서 볕에 1-2번 말린다. 찧어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처음에는 20알을 먹고 매일 10알씩 늘리되, 100알을 넘어서는 안 된다.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먹는다. 양허가 심한 사람이 아니면 이 약 한 가지만 먹어서는 안 된다. 《입문》

 

1.27.10방제
1
 
 
 
久服, 輕身, 不老, 延年. 煉法, 取松脂七斤, 以桑灰汁一石, 煮三沸, 接置冷水中凝, 復煮之, 凡十遍, 色白矣. 服法, 取煉脂, 搗下篩, 以醇酒, 和白蜜如餳, 日服一兩. 《得效方》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수명이 늘어난다. 송진을 정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송진 7근을 뽕나무 잿물 1섬과 함께 3번 끓어 오르게 끓인 후 찬물에 넣어 굳어지게 한 다음 다시 끓인다. 이 과정을 10번 반복하면 흰색이 된다. 이렇게 정제한 송진을 빻아 체로 쳐서 순주(醇酒)ㆍ꿀과 섞어서 엿처럼 만들어 하루에 1냥씩 먹는다. 《득효방》
2
服葉法, 取葉細切, 更硏, 酒下三錢. 亦可粥飮和服. 亦可以炒黑大豆, 同搗作末, 溫水調服, 更佳. 《俗方》
솔잎을 먹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잎을 따서 얇게 썬 후 다시 갈아 술에 3돈씩 먹는다. 미음과 함께 먹어도 좋다. 검게 볶은 콩을 함께 찧어서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속방》

 

1
 
 
 
久服, 明目, 黑鬚髮, 延年. 槐者, 虛星之精, 十月上巳日, 採子服之. 去百病長生. 《本草》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머리와 수염이 검어지며 수명이 늘어난다. 회화나무는 허성(虛星)의 정(精)으로 음력 10월의 첫 사일(巳日)에 열매를 따서 먹는 데 모든 병을 고치고 오래 살게 한다. 《본초》
2
槐膽丸, 明目, 黑髮, 固齒, 延年. 十月上巳日, 採槐實, 納陶缸中, 封口鹽泥固濟, 埋背陰墻下, 掘三尺土中, 至臘月初八日取出, 去皮, 取黑子裝在牛膽內, 高懸陰乾, 至次年淸明日取出, 每日, 空心, 白湯呑下一粒, 二日二粒, 漸加至十五粒, 以後每日減一粒, 周而復始. 《入門》
괴담환(槐膽丸)은 눈을 밝게 하고 머리를 검게 하며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수명을 늘린다. 음력 10월의 첫 사일(巳日)에 괴실을 따서 질항아리 안에 넣고 소금을 섞은 진흙으로 입구를 봉한다. 이것을 그늘진 담 밑에 3자 깊이로 묻었다가 섣달 초파일에 꺼내어 껍질을 벗긴 후 검은 씨를 소 쓸개 안에 넣고 높이 매달아 그늘에서 말린다. 다음 해 청명일에 꺼내어 매일 빈속에 끓인 물로 1알을 삼키고 둘째 날은 2알을 삼키며 15알이 될 때까지 양을 늘린다. 이후에는 매일 1알씩 줄이고 한 바퀴 돌면 다시 시작한다. 《입문》

 

1
 
 
 
久服, 除百病, 延年益壽. 取葉陰乾爲末, 蜜丸小豆大, 酒下八十一丸. 服一年延十年命, 二年, 延二十年命. 忌食雜肉, 五辛. 《本草》
오래 복용하면 온갖 병을 없애고 수명을 늘린다. 잎을 따서 그늘에 말려 가루내고 팥알만 하게 꿀로 환을 만들어 술로 81알씩 먹는다. 1년 동안 복용하면 10년을 더 살고 2년 동안 복용하면 20년을 더 산다. 여러 고기와 오신(五辛)을 같이 먹어서는 안 된다. 《본초》
2
柏葉茶, 取東向柏葉, 置甑中飯上蒸之, 以水淋數過, 陰乾, 每日煎服. 《入門》
측백엽차는 동쪽으로 난 잎을 시루의 밥 위에 놓고 찐 후 물로 여러 번 씻어서 그늘에 말려 만들어 매일 달여 먹는다. 《입문》

 

1
 
 
 
久服, 輕身, 不老, 耐寒暑, 令人長壽. 枸杞當用莖皮, 地骨當用根皮, 枸杞子當用其紅實子, 及葉同功, 根莖葉子皆可服. 嫩葉, 作羹作虀可常服. 皮及子, 作末蜜丸, 常服亦可, 酒浸服.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더위와 추위를 타지 않고 장수한다. 구기는 줄기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은 뿌리 껍질을 써야 하며, 구기자는 붉은 열매를 써야 한다. 구기의 잎도 약효가 비슷하므로 뿌리ㆍ줄기ㆍ잎ㆍ열매를 모두 복용할 수 있다. 어린 잎은 국을 끓이거나 나물을 무쳐서 평상시에 먹어도 된다. 껍질과 열매는 가루내어 꿀로 환을 만들어 늘 복용해도 되고 술에 담가 먹어도 된다.
2
金髓煎, 取紅熟枸杞子, 酒浸兩月, 漉出, 硏爛, 以布濾去滓, 取汁, 幷前浸藥酒, 於銀石器內, 熬成膏. 每日溫酒下, 二大匙, 日二次. 久服可以羽化. 《本草》
금수전(金髓煎)은 붉게 익은 구기자를 2달 동안 술에 담갔다가 구기자를 걸러내어 짓찧어 베에 다시 거른 후 찌꺼기는 버리고 걸러진 즙은 앞에서 담갔던 약주와 함께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서 만든 고약이다. 매일 따뜻한 술에 큰 숟가락으로 2술씩, 하루에 2번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신선이 될 수 있다. 《본초》

 

1.27.14방제
1
 
 
 
久服, 不飢, 延年, 却老. 取白茯苓, 合白菊花, 或合白朮, 丸散任意, 皆可常服. 又法, 白茯苓去皮, 酒浸十五日, 漉出搗爲末, 每服三錢, 水下日三. 久服, 延年, 耐老, 面若童顔. 《本草》
오래 복용하면 배가 고프지 않고 수명이 늘어나며 늙지 않는다. 백복령을 흰 국화나 백출과 합쳐서 환제나 산제로 임의대로 만들어 늘 먹을 수 있다. 또는 백복령의 껍질을 벗기고 술에 15일 동안 담근 후 걸러서 찧어 가루내어 3돈씩, 하루에 3번 물에 타서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수명이 늘어나고 늙지 않으며 얼굴이 동안이 된다. 《본초》

 

1
 
 
 
久服, 輕身, 耐老. 煮根莖, 如常法釀酒服, 主補益. 或煮湯以代茶飮, 亦可. 世有服五加皮酒, 散, 而獲延年不死者, 不可勝計. 《本草》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뿌리와 줄기를 달인 후 일반적인 방법대로 술을 빚어 복용한다. 주로 몸을 보한다. 혹은 차 대신 달여 마셔도 좋다. 세상에는 오가피주나 오가피산을 먹고 수명이 늘어나 죽지 않는 사람이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본초》

 

1.27.16방제
1
 
 
 
久服, 變白, 不老. 取黑熟者, 曝乾, 搗末, 蜜丸. 長服, 又多取釀酒服, 主補益. 《本草》
오래 복용하면 흰 머리가 검게 되고 늙지 않는다. 검게 익은 것을 따서 볕에 말린 후 찧어서 가루 낸다. 꿀로 환을 만들어서 오래 복용한다. 또 대부분 술을 빚어 먹는 데, 주로 보하는 작용이 있다. 《본초》

 

1.27.17방제
1
 
 
 
久服, 輕身, 耐老, 不飢, 延年. 去皮心, 搗爲末作粥, 或磨作屑, 作飯, 長服皆佳. 又搗末, 酒飮任下二錢. 久服令人長生. 《本草》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수명이 늘어난다. 껍질과 심을 제거한 후 찧어서 가루내어 죽을 쑤어서 먹거나 갈아서 밥을 지어먹는 데, 오래 먹으면 모두 좋다. 또 찧어서 가루내어 2돈씩 술이나 미음에 타서 먹는 데, 오래 복용하면 장수한다. 《본초》

 

1
 
 
 
卽雞頭實也. 久服, 輕身, 不飢, 耐老神仙. 仙方取此, 幷蓮實, 合餌最佳. 作粉食之甚妙. 是長生之藥, 服之延年.
곧 계두실이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배고프지 않으며, 늙지 않아서 신선이 된다. 《선방(仙方)》에는 이것과 연육을 섞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고 했는데, 가루내어 먹어도 아주 묘한 효과가 있다. 오래 살게 하는 약이므로 먹으면 수명이 늘어난다.
2
芡仁粥, 粳米一合, 雞頭實末二合, 煮粥. 空心服之, 益精氣, 聰利耳目, 能駐年. 《本草》
검실죽은 멥쌀 1홉과 검실 가루 2홉으로 죽을 쑨 것이다. 빈속에 먹으면 정기(精氣)를 더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늙지 않게 한다. 《본초》
1.27.19방제
1
 
 
 
久服, 輕身, 延年, 不飢, 不老. 作粥, 常服最佳. 《本草》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이 늘어나며, 배고프지 않고, 늙지 않는다.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가장 좋다. 《본초》
 
1
 
 
 
卽黑脂麻也. 久服, 輕身, 不老, 耐飢渴, 延年. 一名巨勝. 白蜜一升, 巨勝一升, 合之, 名曰靜神丸. 又服法, 胡麻, 九蒸九曝, 炒香, 杵末, 蜜丸彈子大, 酒下一丸. 忌食毒魚, 生菜. 久服長生.
곧 검은 참깨이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픔과 목마름을 잘 견디고 수명이 늘어난다. 일명 거승(巨勝)이다. 꿀 1되와 검은 참깨 1되를 합해 만든 것을 정신환(靜神丸)이라 한다. 또는 검은 참깨를 구증구포하고 냄새가 나도록 볶고 찧어서 가루 낸 후 꿀로 반죽해서 탄자대로 환을 만든다. 술로 1알씩 먹는다. 독이 있는 물고기와 생야채는 함께 먹지 말아야 한다. 오래 복용하면 장수한다.
2
魯女, 生服胡麻, 餌朮, 絶穀八十餘年, 甚少壯, 日行三百里.
노(魯)나라의 어떤 여인이 검은 참깨를 날로 먹고 창출을 먹으면서 일반적인 곡식을 끊은 지 80여년이나 되었는데도 매우 젊고 건강하였으며 하루에 300리나 걸었다.
3
胡麻ㆍ大豆ㆍ大棗, 同九蒸九曝, 作團食. 延年斷穀. 《本草》
호마ㆍ대두ㆍ대추를 모두 구증구포하여 둥글게 만들어 먹으면 수명이 늘어나고 곡식을 끊을 수 있다. 《본초》

 

1
 
 
 
長服, 可斷穀, 長生. 九蒸九曝, 搗爲末, 水服二錢, 日二. 《本草》
오래 복용하면 곡식을 끊고 오래 살 수 있다. 구증구포한 후 빻아서 가루내어 하루에 2번, 2돈씩 물과 함께 먹는다. 《본초》
 
1
 
 
 
補五藏, 益年, 令人肥白悅澤. 取甘香乳汁, 入銀器內, 頓滾, 五更時熱服, 每一吸卽以指塞鼻孔, 按脣貼齒而漱, 乳與口津相和, 然後以鼻引上吸, 使氣由明堂入腦, 方可徐徐嚥下. 凡五七次爲一度. 久服甚佳.
오장을 보하고 수명을 늘리며, 피부를 희고 살찌우며 윤택하게 한다. 단내 나는 젖을 은그릇에 담고 잠시 끓였다가 새벽에 뜨겁게 해서 먹는데, 한 모금 흡입하고는 곧바로 손가락으로 콧구멍을 막고 입술을 눌러 치아에 닿게 하여 양치하되 젖과 침이 서로 섞이도록 한다. 이렇게 한 후에 코로 숨을 들이쉬는데, 기가 코에서 뇌로 들어가도록 한 후 천천히 젖을 삼킨다. 5-7번을 한 횟수로 한다. 오래 복용하면 매우 좋다.
2
漢張蒼, 常服人乳. 故年過百餘歲, 肥白如瓠. 《本草》《心法》
한(漢)나라의 장창은 늘 젖을 먹어 100살이 넘도록 살았고 조롱박처럼 살지고 희었다. 《본초》《심법》

 

1.27.23방제
1
 
 
 
凡晨起食粥, 利膈養胃, 生津液, 令一日淸爽, 所補不小. 晩粳米, 濃煮令爛食之. 《入門》
새벽에 일어나 죽을 먹으면 가슴이 뚫리고 위(胃)를 보양한다. 진액이 생겨나고 하루종일 기분이 상쾌하여 보하는 힘이 작지 않다. 만생종(晩生種) 멥쌀을 진하게 푹 쑤어 먹는다. 《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63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49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25
[신형(身形)]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1384
[신형(身形)]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1605
[신형(身形)]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1470
[신형(身形)]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1636
[신형(身形)]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1375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28
[신형(身形)]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583
[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1260
[신형(身形)]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2156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0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2
[신형(身形)]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1313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3
[신형(身形)]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虛心合道] 1414
[신형(身形)] 도[道]를 배우는 데는 빠르고 늦은 것이 없다[學道無早晩] 1414
[신형(身形)] 사람의 마음은 천기와 부합된다[人心合天機] 1371
[신형(身形)] 반운복식[搬運服食] 1294
[신형(身形)] 안마도인[按摩導引] 1685
[신형(身形)] 섭양요결[攝養要訣] 1688
[신형(身形)]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1518
[신형(身形)] 양성금기[養性禁忌] 1461
[신형(身形)] 계절에 맞춰 사는 법[四時節宣] 1196
[신형(身形)] 선현들의 격언[先賢格言] 1436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0
[신형(身形)] 단방(單方) 1391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7
[신형(身形)] 배꼽을 단련하는 법[煉臍法]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