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844 추천 수 0
◈ 小麥 ○ 밀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除煩熱少睡止燥渴利小便養肝氣[本草] ○ 小麥皮寒肉熱合湯皆完用之不許皮??則溫明?不能消熱止煩也[本草] ○ 秋種夏熟受四時氣足自然兼有寒溫?熱?冷宜其然也[本草] ○ 凡麥秋種冬長春秀夏實具四時中和之氣故爲五穀之貴地煖處亦可春種至夏便收受氣不足故有毒而?性亦冷也[本草]

☞ 소맥(小麥, 밀)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번열을 없애고 잠이 적어지게 하며 조갈(燥渴)을 멎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간기(肝氣)를 보양한다[본초]. ○ 밀껍질(小麥皮)은 성질이 차고[寒] 쌀알은 성질이 열[熱]하다. 달임약[湯]에 넣을 때에는 껍질채로 넣어서 껍질이 터지지 않게 달여야 한다. 그것은 껍질이 터지면 성질이 따뜻해지기[溫] 때문이다. 이것으로 보아 껍질을 버린 밀가루는 열과 답답한 것[煩]을 없애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본초]. ○ 가을에 심으면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기운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자연히 차고 따뜻한[寒溫] 성질을 겸하게 된다. 가루(?)는 성질이 열[熱]하고 밀기울(?)은 성질이 찬데[冷]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본초]. ○ 밀은 가을에 심고 겨울에 자라서 봄에 이삭이 패고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고른 기운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5곡에서 제일 귀한 것이다. 기후가 따뜻한 곳에서는 봄에 심었다가 여름에 걷어들이기도 하나 이것은 기를 부족하게 받기 때문에 독이 있다. 그리고 이것으로 낸 가루는 성질이 또한 차다[冷][본초].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꿀, 봉밀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1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6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3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67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58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1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1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5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19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48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4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1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4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3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0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3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6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5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44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0
[곡식(穀部)] 국(麴, 누룩) 397
[곡식(穀部)] 신국(神麴, 약누룩) 506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1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5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5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0
[곡식(穀部)] 대맥(大麥, 보리) 849
[곡식(穀部)] 광맥(?麥, 겉보리) 509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399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