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822 추천 수 0
◎ 泄瀉宜用升陽之藥 ○ 暑月霖雨時人多病泄瀉乃濕多成五泄故也.內經曰在下者引而竭之又曰治濕不利小便非其治也.法當以淡?之劑利之然客邪寒濕之勝自外入裏而甚暴若用利小便之藥則是降之又降復益其陰而重竭其陽也.玆以升陽之藥則是爲宜耳羌活獨活升麻各一錢半防風甘草灸各一錢右?水煎服卽愈大法曰寒濕之勝助風以平之又曰下者擧之正謂此也.<東垣>

☞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 여름 장마철이 되면 흔히 설사하게 되는데 이것은 습기가 많아서 5가지 설사[五泄]가 생기기 때문이다. 『내경』에는 "병이 아래에 있으면 끌어올려서 낫게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습을 치료할 때에는 오줌을 잘 나오게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은 알맞는 치료방법이 아니다"고 씌어 있다. 치료하는 방법은 담삼(淡?)한 약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해야 한다. 그러나 한(寒)사와 습(濕)사가 속에 몰려 성한 때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약을 쓴다면 이것은 내려가는 음(陰)을 더 내려가게 도와주고 양기(陽氣)를 더욱 줄어들게 하는 격이 된다. 이때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므로 강활, 독활, 승마 각각 6g과 방풍, 감초(볶은 것) 각각 4g 등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어야 한다. 그러면 곧 낫는다. 『대법(大法)』에는 "한사와 습사가 성할 때에는 풍사(風邪)를 도와주어서 고르게[平]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또한 병이 아래로 내려 갔으면 끌어올리라고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95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6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