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한닥터 2011.07.29 조회 수 566 추천 수 0
◎ 泄痢易治難治辨 ○ 太陰脾經受濕而爲水泄久則傳變而爲膿血痢是脾傳腎謂之賊邪故難愈若先痢而後瀉是腎傳脾謂之微邪故易愈<易老> ○ ?泄脈大手足寒難已脈小手足溫易已<脈經> ○ 下痢有微熱而渴脈弱者自愈 ○ 下痢脈數有微熱汗出令自愈<脈經> ○ 下痢脈大者爲未止<脈經> ○ 下痢手足溫易治手足寒難治<直指> ○ 下痢嘔?發?煩躁身熱者難治<醫鑑>

☞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 태음비경(太陰脾經)이 습을 받으면 수설(水泄)이 생기는데 이것이 오래면 농혈리(膿血痢)가 된다. 이것은 비병(脾病)이 신(腎)에 옮아간 것으로 적사(賊邪)이기 때문에 치료하기 어렵다. 이질을 먼저 앓은 다음에 설사를 하는 것은 신병(腎病)이 비(脾)에 옮아간 것으로 미사(微邪)이기 때문에 쉽게 낫는다[역로]. ○ 손설(?泄)이 있으면서 맥이 대(大)하고 손발이 찬 것은 치료하기 어렵고 맥이 소(小)하고 손발이 따뜻한 것은 쉽게 낫는다[맥경]. ○ 이질 때 미열(微熱)이 있고 목이 마르며 맥이 약(弱)한 것은 저절로 낫는다. ○ 이질 때 맥이 삭(數)하고 미열이 있으면서 땀이 나는 것도 저절로 낫는다[맥경]. ○ 이질 때 맥이 대(大)하면 낫지 않는다[맥경]. ○ 이질 때 손발이 따뜻하면 쉽게 낫고 손발이 차면 낫기가 어렵다[직지]. ○ 이질 때 구역질이 나고 딸꾹질[?]이 나면서 트림이 나고[發?] 번조(煩躁)하며 몸에 열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95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대변빛으로 갈라보는 방법[辨便色] 771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6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