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399 추천 수 0
◎ 漏睛膿出 ○ ?頭結聚生瘡流出膿汁無?障不疼痛因心氣不寧幷風熱在瞼中宜白薇元[得效] ○ 風熱客於瞼?之間令?內結聚津液乘之故成膿出不止俗呼爲漏睛或眼因患瘡出膿血後大?頭常出膿涎亦名漏睛若不早治日久則眼生黑點侵損於目卽難治宜黃?散及點藥[類聚]

☞ 누정농출(漏睛膿出) ○ 눈구석에 생긴 멍울이 헌데가 되어 고름이 나오고 예장(?障)은 없으나 아프지는 않은 것이다. 이것은 심기가 편안치 못하고 동시에 눈꺼풀속에 풍열이 몰렸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백미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풍열이 눈꺼풀 안과 눈구석에 들어가서 멍울이 생겼을 때 진액이 겹치면 고름이 생겨 멎지 않고 나오게 된다. 민간에서는 누정(漏睛)이라고 한다. 혹 눈에 헌데가 생겨서 피고름이 나온 다음에 눈 내자에서 늘 고름이 나오는 것도 누정(漏睛)이라고 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눈에 검은 점이 생기고 손상되어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에는 황기산을 먹고 눈에 약을 넣는 것이 좋다[유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2. 동의보감 처방집 황기산(黃芪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백미원(白薇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산곽(山廓) 501
[눈(眼)] 폭풍객열(暴風客熱) 500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같은 것[眼中生火] 481
[눈(眼)] 눈을 보고 병의 예후가 나쁜 것을 안다[目視凶證] 481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7
[눈(眼)] 삽예(澁翳) 473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풍적창질(風赤瘡疾) 467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8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눈(眼)] 소자적맥(小眥赤脈) 444
[눈(眼)] 녹풍(綠風) 429
[눈(眼)] 황심예(黃心瞖) 426
[눈(眼)]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425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눈(眼)] 검경정통(瞼硬睛痛) 417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혈관동인(血灌瞳人)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