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525 추천 수 0
◎ 眼病調養 ○ 養目力者常瞑[養生] ○ 讀書博奕過度患目名曰肝勞非三年閉目不可治[資生] ○ 古人治肝勞有養之之法彭眞人患目疾不計晝夜?目注視閉之少頃依法再行積功而視秋毫徐眞人亦患目疾暗室正坐運睛旋還八十一數閉目集神再運不數年而神光自現狀如金輪永除昏暗施眞人歌曰運睛除目暗皆養之之法也[資生] ○ 熱摩手心?兩眼每二七遍使人眼目自無障?明目去風無出於此[養性] ○ 常以手按兩眉後小空中三九過又以手心及指摩兩目下?上以手提耳四十過摩令微熱輒以手逆乘額三九過從眉中上行入髮際以口嚥唾無數如此常行目卽淸明一年可夜讀書[養性] ○ 五色皆損目惟?糊屛風可養目力[延壽]

☞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 시력을 도우려면 늘 눈을 감고 있어야 한다[양생]. ○ 지나치게 책을 많이 읽거나 도박을 하여 눈병이 생긴 것을 간로(肝勞)라고 한다. 이 병은 3년 동안 눈을 감고 있지 않으면 치료하지 못한다[자생]. ○ 옛사람들에게는 간로 때 조리하는 좋은 방법이 있었다. 팽진인(彭眞人)은 눈병이 생겼을 때 밤낮을 가리지 않고 눈을 똑바로 뜨고 곧추 보다가는 감고 감았다가는 곧추 보곤하였다. 얼마 후에 또 그렇게 하기를 오랫동안 하였는데 가을 짐승의 솜털까지 볼 수 있게 되었다. 서진인(徐眞人)도 눈병을 앓을 때 캄캄한 방에 단정하게 앉아서 눈알을 81번 굴리고는 눈을 감고 정신을 모으기를 반복하였는데 몇 해 동안 하지 않아서 이상한 광채가 나더니 금고리처럼 되면서 영원히 눈이 어두워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서진인은 눈알을 굴렸더니 어두움 사라졌네라는 노래까지 지었다. 이것은 다 조리하는 좋은 방법이다[자생]. ○ 두 손바닥을 뜨겁게 비빈 다음 두 눈을 매번 14번씩 눌러 주면 눈에 장예(障?)도 생기지 않고 눈이 밝아지며 풍(風)이 없어진다. 이 방법보다 더 좋은 조리방법은 없다[양성]. ○ 늘 손가락으로 두 눈썹 끝의 작은 구멍이 있는 곳을 27번 누르고 또 손바닥이나 손가락으로 양쪽 눈 밑의 관골 부위를 비빈다. 또는 손으로 귀를 40번 잡아당기면서 비비어 약간 따뜻하게 하고는 곧 손으로 이마를 쓸어올리는데 눈썹 한가운데서부터 머리털이 난 짬 사이까지 27번 비비고는 침을 여러 번 삼킨다. 이렇게 늘 하면 눈이 밝아지는데 1년만 하면 밤에도 책을 볼 수 있게 된다[양성]. ○ 5가지 빛은 다 눈에 좋지 않다. 다만 거먼 병풍(屛風)만이 시력을 도와준다[연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에는 장부의 정기가 나타난다[眼爲臟腑之精] 833
[눈(眼)] ☞ 오륜의 그림 878
[눈(眼)] 기륜(氣輪) 614
[눈(眼)] 풍륜(風輪) 591
[눈(眼)] 육륜(肉輪) 609
[눈(眼)] 혈륜(血輪) 694
[눈(眼)] 수륜(水輪) 632
[눈(眼)] 8곽(八廓) 602
[눈(眼)] 천곽(天廓) 566
[눈(眼)] 지곽(地廓) 608
[눈(眼)] 화곽(火廓) 545
[눈(眼)] 수곽(水廓) 576
[눈(眼)] 풍곽(風廓) 522
[눈(眼)] 뇌곽(雷廓) 539
[눈(眼)] 산곽(山廓) 501
[눈(眼)] 택곽(澤廓) 504
[눈(眼)] 눈알은 5장에 속한다[眼睛屬五臟] 586
[눈(眼)] 눈에는 내자와 외자가 있다[眼有內外?] 771
[눈(眼)] 모든 맥은 눈에 속한다[諸脈屬目] 522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
[눈(眼)]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다[目者肝之竅] 1033
[눈(眼)] 눈병에는 한증이 없다[眼病無寒] 624
[눈(眼)] 눈병은 화가 없이는 생기지 않는다[眼無火不病] 797
[눈(眼)] 눈병의 원인[眼病所因] 741
[눈(眼)] 내장(內障) 1515
[눈(眼)] 원예(圓翳) 704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활예(滑翳) 536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산예(散翳) 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