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胸)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한닥터 2011.08.19 조회 수 1294 추천 수 0
◎ ?有虛實 ○ ?有虛實之殊實?大便閉厚朴枳實湯(方見大便)主之虛?大便利芍藥陳皮湯主之[東垣] ○ ?有虛有實大便易而利者爲虛大便難而閉者爲實[入門]

☞ 비(?)에는 허증과 실증이 있다[?有虛實]

 ○ 비에는 허증과 실증의 구별이 있다. 실비(實?) 때는 대변이 막히는데 후박지실탕(厚朴枳實湯, 처방은 대변문(大便門)에 있다)을 주로 쓴다. 허비(虛?) 때는 설[利]하는 데 작약진피탕을 주로 쓴다[동원]. ○ 비에 허증도 있고 실증도 있는데 대변을 보기 쉽거나 설하는 것은 허증이고 대변보기가 힘들거나 막히는 것[閉結]은 실증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구설(久泄)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후박지실탕(厚朴枳實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결흉에 약을 싸매는 방법 440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가슴(胸)]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結胸不治證] 500
[가슴(胸)] 비기(?氣)에 약을 싸매는 방법 506
[가슴(胸)] 가슴의 치수[胸膈度數] 519
[가슴(胸)] 침뜸치료[鍼灸法]/가슴 524
[가슴(胸)]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526
[가슴(胸)] 장부의 경맥은 모두 격막을 지나간다[臟腑經脈皆貫膈] 544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7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가슴(胸)] 맥 보는 법[脈法]/가슴 578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가슴(胸)] 음독결흉과 양독결흉[陰陽毒結胸] 589
[가슴(胸)] 가슴(胸膈)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 뜻[胸膈之名有義] 606
[가슴(胸)] 가슴의 위치[胸膈部位] 607
[가슴(胸)] 단방(單方)/가슴 631
[가슴(胸)] 심통에는 또 6가지가 있다[心痛亦有六] 643
[가슴(胸)] 열실결흉(熱實結胸) 644
[가슴(胸)] 구흉(龜胸) 648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가슴(胸)] 소결흉(小結胸) 703
[가슴(胸)] 풍심통(風心痛) 718
[가슴(胸)] 가슴앓이[心痛]와 위완통의 원인은 다르다[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733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心胃痛宜吐] 852
[가슴(胸)] 거래통(去來痛) 857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