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운기(天地運氣)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한닥터 2011.08.26 조회 수 513 추천 수 0
◎ 南北病治法 ○ 東南山谷地氣濕熱病多自汗西北高燥地氣寒凉病多無汗中原土鬱病多膨脹飮食居處各各不同[入門] ○ 北方土厚水深水性沈下人體多實而少虛若有所治則宜多用淸凉之劑南方屬火火性輕炎人體多虛而少實?投以溫和之藥以調之[得效]

☞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 동남 지방은 산악지대이므로 땅이 습(濕)하고 기후가 무덥기 때문에 병들면 땀이 저절로 많이 나온다. 서북 지방은 지대가 높고 메말랐으며 땅이 차고 기후가 서늘하다. 그러므로 병들어도 대부분 땀이 없다. 중부의 평야지대에는 습기가 몰려서 생기는 창만병[膨脹]이 많다. 그러므로 지대에 따라 먹는 음식과 거처하는 것이 각기 다르다[입문]. ○ 북쪽은 땅이 걸고[厚] 물이 깊은데 물은 내려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 지대의 사람들은 대부분 몸이 실하고 허한 사람은 적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는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淸凉之劑]을 쓰는 것이 좋다. 남쪽은 화(火)에 속하는데 화의 성질은 가볍고 덥다. 때문에 이 지대의 사람들은 대부분 몸이 허하고 실한 사람은 적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 성질이 온화(溫和)한 약을 써야 한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천지운기(天地運氣)] 묘유년[卯酉之歲] 237
[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279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
[천지운기(天地運氣)] 6을년(六乙年)은 종혁(從革)의 해[六乙年從革之紀] 379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395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천지운기(天地運氣)] 표와 본에 대하여[論標本]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4철의 기후[四時氣候] 406
[천지운기(天地運氣)] 6병년(六丙年)은 만연(漫衍)의 해[六丙年漫衍之紀] 414
[천지운기(天地運氣)] 1년 중의 5운[歲中五運] 417
[천지운기(天地運氣)] 음양이 뒤섞인 것[陰陽相錯] 428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 운기의 주기와 객기, 사람에게 생기는 병[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430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승제[六氣承制] 442
[천지운기(天地運氣)] 10간(十干) 444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가 만나는 날짜[交六氣時日] 45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정과 북정에 대하여[論南北政] 453
[천지운기(天地運氣)] 기후의 차이[氣候差異] 463
[천지운기(天地運氣)] 객기(客氣) 471
[천지운기(天地運氣)] 5음이 크고 작은 것[五音大小]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주기(主氣) 485
[천지운기(天地運氣)] 12지(十二支) 491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지방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地理有壽夭之異]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