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한닥터 2011.09.02 조회 수 485 추천 수 0
◎ 痺病治法 ○ 痺之初起驟用參?歸地則氣血滯而邪鬱不散只以行濕流氣散主之[入門] ○ 三氣襲人經絡久而不已則入五藏或入六府隨其臧府之兪合以施針炙仍服逐三氣發散等藥則病自愈矣[玉機] ○ 痺證因虛而感風寒濕之邪旣着體不去則須製對證藥日夜飮之雖留連不愈能守病禁不令入藏庶可扶持也如錢仲陽取茯?其大逾斗者以法啖之閱月乃盡由此雖偏廢而氣骨堅悍如無疾者壽八十二而終惜乎其方無傳[玉機]

☞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 비증이 처음 생겼을 때에 빨리 인삼, 황기, 당귀, 숙지황을 쓰면 기혈(氣血)이 막히고 사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데는 오직 행습유기산을 써야 한다[입문]. ○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침범하여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으면 사기가 5장이나 6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때에는 그 5장 6부의 유혈(兪穴)과 합혈(合穴)에 침뜸을 놓고 이어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를 몰아내고 발산시키는 약을 먹어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옥기]. ○ 비증은 허할 때에 풍, 한, 습의 사기에 감촉되면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 증상에 맞는 약을 늘 지어 먹어야 한다. 그래야 병이 다 낫지는 않아도 5장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면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전중양(錢仲陽)은 1말 이상 되는 백복령을 1달 이상 위의 방법대로 먹었기 때문에 비록 몸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으나 기골이 건장하여 병이 없는 사람처럼 82살까지 살았다. 그러나 그 처방은 전해지지 않는다[옥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8
[풍(風)] 풍비(風?) 1574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9
[풍(風)]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1209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1149
[풍(風)]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1140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풍(風)] 담연이 몹시 성한 것[痰涎壅盛] 969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2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31
[풍(風)] 편고(偏枯) 904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풍(風)] 중풍의 원인[中風所因] 859
[풍(風)]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暴?] 859
[풍(風)] 3가지 비증[三痺] 856
[풍(風)] 풍의(風懿) 798
[풍(風)]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791
[풍(風)] 풍비증의 시초[風痺之始] 786
[풍(風)] 정신이 흐릿한 것[精神蒙昧] 769
[풍(風)]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756
[풍(風)] 적풍(賊風)과 허사(虛邪)가 사람에게 침범하는 것[賊風虛邪中人] 742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
[풍(風)] 팔다리에 생긴 계종과 축닉은 풍병이다[四肢??爲風疾] 701
[풍(風)]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