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1116 추천 수 0
◎ 陽明病有三 ○ 病有太陽陽明有正陽陽明有少陽陽明何謂也答曰太陽陽明者脾約是也正陽陽明者胃家實是也少陽陽明者發汗利小便胃中燥煩實大便難是也[仲景] ○ 陽明之爲病胃家實也問曰緣何得陽明病答曰太陽病發汗若下若利小便者此亡津液胃中乾燥因轉屬陽明不更衣內實大便難者此名陽明病也[仲景]

☞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 양명병에는 태양양명병(太陽陽明病), 정양양명병(正陽陽明病), 소양양명병(少陽陽明病)이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태양양명병은 비약증(脾約證)을 말하는 것이고 정양양명병은 위가실(胃家實)을 말하는 것이며 소양양명병은 땀을 내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장위(腸胃)가 건조해져서 대변이 굳어져 누기가 힘들게 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중경]. ○ 양명병이라는 것은 위가실(胃家實)을 말한 것이다. 양명병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태양병 때 땀을 내야 할 증인데 설사를 시키거나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면 진액(津液)을 잃게 된다. 이렇게 되면 위(胃) 속이 건조해져서 양명병으로 변한다. 이때에는 속이 실해져 대변을 보지 못한다. 이것을 양명병(陽明病)이라고 한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번조의 뒷짐작[煩躁吉凶] 361
[한(寒)] 상한을 앓고 난 뒤에 남아 있는 증상[傷寒遺證] 378
[한(寒)] 빨리 설사시켜야 할 2가지 증[急下兩證] 378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407
[한(寒)] 동기가 오른쪽에 있는 것[動氣在右] 413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8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한(寒)] 동기가 위에 있는 것[動氣在上] 427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한(寒)] 음양교증(陰陽交證) 440
[한(寒)] 혈결흉(血結胸) 441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