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521 추천 수 0
? 厥與四逆不同 ○ 四逆者四肢不溫也厥者手足逆冷也傷寒邪在三陽則手足必熱傳到太陰手足自溫至少陰則邪熱漸深故四肢逆而不溫及至厥陰則手足厥冷是又甚於逆其四逆散凉藥以治四肢不溫其四逆湯熱藥以治寒極而成逆厥者也四肢通冷比之手足獨冷則有間夫死者以四逆言之可治者以厥冷言則亦可見四逆與手足厥冷之有輕重淺深矣盖四肢通冷其病爲重手足獨冷其病爲輕也四肢與手足却有所分以四字加於逆字之上是通指手足臂脛以上言也以手足二字加於厥逆厥冷之上是獨指手足言也盖以四逆爲四肢通冷厥爲手足獨冷也[東垣]

☞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은 것이고 궐(厥)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逆冷]이다. 상한 때에 사기가 3양(三陽)에 있으면 손발이 반드시 달고 이것이 태음(太陰)에 전경(傳經)되면 손발이 저절로 따뜻해진다. 사기(邪氣)가 소음(少陰)에 들어가면 열이 점점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팔다리가 싸늘해졌다가 따뜻해지지 않는다. 궐음(厥陰)에 들어가면 손발이 싸늘해진다. 이것은 사역보다 심한 것이다. 사역산은 성질이 서늘한 약이기 때문에 팔다리가 따뜻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며 사역탕은 성질이 더운약이므로 찬 기운이 심하여 손발이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팔다리가 다 찬 것은 손발만 싸늘한 것과 차이가 있는데 팔다리가 싸늘하면 죽고 손발만 싸늘하면 살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과 손발만 싸늘한 데는 중(重)한 것과 경(輕)한 것, 깊은 것과 얕은 것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팔다리가 다 싸늘하면 병이 중하고 손발만 싸늘하면 병이 경하다. 팔다리와 손발이란 의미가 다른데 '넉 사(四)'자를 '거스를 역(逆)'자의 위에 덧붙여 사역(四逆)이라고 한 것은 손발과 팔뚝과 정강이 위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수족(手足)이라는 두 글자를 궐역(厥逆) 또는 궐랭(厥冷)이라는 글자 위에 덧붙인 것은 손발만 가리켜 말한 것이다. 대체로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을 의미하고 궐(厥)은 손발만 싸늘한 것을 의미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3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854
[한(寒)]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854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
[한(寒)] 상한결흉(傷寒結胸) 771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태양상풍(太陽傷風) 749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