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07 추천 수 0
◎ 傷寒除中證 ○ 厥而下利反能食者曰除中不治[得效] ○ 厥而利反能食曰除中其死也可立待也[入門] ○ 邪在表則能食邪在裏則不能食今傷寒厥深下利脈遲當不能食而反能食者名曰除中中之胃氣旣除豈可再復[入門] ○ 厥利當不能食今反能食恐爲除中試食以索餠發熱者除中也不發熱者非除中知胃氣尙在必愈也[仲景]

☞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서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인데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서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인데 곧 죽을 수 있다[입문]. ○ 사기가 표(表)에 있으면 먹을 수 있고 이(裏)에 있으면 먹을 수 없는데 지금 상한에 팔다리가 몹시 싸늘하고 설사하며 맥이 지(遲)하면 응당 먹을 수 없는데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이다. 이것은 위기(胃氣)가 끊어진 것이므로 살 수 없다[입문].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 응당 먹지 못할 터인데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일 수 있다. 시험적으로 떡을 먹여 보아 열이 나는 것은 제중증이고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제중증이 아니다. 위기(胃氣)가 아직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낫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
[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592
[한(寒)] 맥 보는 법[脈法] 586
[한(寒)] 양명실증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陽明實證宜下] 586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한(寒)] 태양병은 6가지로 전해진다[太陽六傳] 565
[한(寒)]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562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양명병의 음결과 양결[陽明病陰陽結] 548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7
[한(寒)] 상한의 전경[傷寒傳經] 532
[한(寒)] 상한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傷寒或愈或死日期] 528
[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521
[한(寒)] 6경의 표와 본[六經標本] 519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한(寒)] 양명증 때 조열이 나는 것[陽明證潮熱] 501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