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07 추천 수 0
◎ 傷寒除中證 ○ 厥而下利反能食者曰除中不治[得效] ○ 厥而利反能食曰除中其死也可立待也[入門] ○ 邪在表則能食邪在裏則不能食今傷寒厥深下利脈遲當不能食而反能食者名曰除中中之胃氣旣除豈可再復[入門] ○ 厥利當不能食今反能食恐爲除中試食以索餠發熱者除中也不發熱者非除中知胃氣尙在必愈也[仲景]

☞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서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인데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서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인데 곧 죽을 수 있다[입문]. ○ 사기가 표(表)에 있으면 먹을 수 있고 이(裏)에 있으면 먹을 수 없는데 지금 상한에 팔다리가 몹시 싸늘하고 설사하며 맥이 지(遲)하면 응당 먹을 수 없는데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이다. 이것은 위기(胃氣)가 끊어진 것이므로 살 수 없다[입문]. ○ 팔다리가 싸늘하고 설사하면 응당 먹지 못할 터인데 도리어 잘 먹는 것은 제중증일 수 있다. 시험적으로 떡을 먹여 보아 열이 나는 것은 제중증이고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제중증이 아니다. 위기(胃氣)가 아직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낫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7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8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한(寒)]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963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소양병 때 땀을 내는 것은 좋지 않다[少陽病不可發汗] 425
[한(寒)] 소양증을 반표반리증이라고 한다[少陽證爲半表半裏] 970
[한(寒)] 소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少陽形證用藥] 1327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한(寒)] 양명비약증(陽明脾約證) 645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한(寒)] 양명증 때 땀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陽明證汗渴] 952
[한(寒)]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562
[한(寒)] 양명실증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陽明實證宜下] 586
[한(寒)]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612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