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한닥터 2011.09.19 조회 수 804 추천 수 0
◎ 審臟腑熱之部分 ○ 內經曰心熱病者顔先赤(顔卽額也)脾熱病者鼻先赤肝熱病者左頰先赤肺熱病者右頰先赤腎熱病者?先赤 ○ 心肺居胸背心熱則胸熱肺熱則背熱 ○ 肝膽居脇肝膽熱則當脇亦熱 ○ 腎居腰腎熱則當腰亦熱 ○ 胃居臍上故胃熱則臍以上熱 ○ 腸居臍下故腸熱則臍以下熱[綱目]

☞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 『내경』에는 "심열병(心熱病)이면 얼굴(얼굴이란 곧 이마다)이 먼저 붉고 비열병(脾熱病)이면 코가 먼저 붉으며 간열병(肝熱病)이면 왼쪽뺨이 먼저 붉고 폐열병(肺熱病)이면 오른쪽뺨이 먼저 붉으며 신열병(腎熱病)이면 턱이 먼저 붉어진다. ○ 심과 폐는 가슴과 잔등 사이에 있는데 심에 열이 있으면 가슴이 달고 폐에 열이 있으면 잔등이 단다. ○ 간담(肝膽)은 옆구리에 있는데 간담에 열이 있으면 옆구리도 또한 단다. ○ 신은 허리에 있는데 신에 열이 있으면 허리가 역시 단다. ○ 위(胃)는 배꼽 위에 있는데 위에 열이 있으면 배꼽 위가 단다. ○ 장(腸)은 배꼽 아래에 있는데 장에 열이 있으면 배꼽 아래가 단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침뜸치료[鍼炙法] 498
[화(火)]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陰虛火動者難治] 505
[화(火)] 어혈로 열이 나는 것[滯血發熱] 538
[화(火)] 단방(單方) 556
[화(火)] 열이 쌓여서 나는 오한[積熱惡寒] 574
[화(火)] 맥 보는 법[脈法] 615
[화(火)] 음이 허하면 속이 달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다[陰虛內熱陰盛內寒] 650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화(火)]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양이 성하면 겉이 단다[陽虛外寒陽盛外熱] 685
[화(火)] 장부의 화를 사하는 약[臟腑瀉火藥] 704
[화(火)] 화를 억제하는데 방법이 있다[制火有方] 706
[화(火)] 음이 허하여 나는 오열[陰虛惡熱] 750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화(火)] 골증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骨蒸不治證] 860
[화(火)] 피를 많이 흘리면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亡血致惡寒發熱] 902
[화(火)] 술을 마시고 열이 나는 것[飮酒發熱] 989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2
[화(火)] 허번(虛煩) 1012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6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3
[화(火)] 적열(積熱) 1230
[화(火)]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1249
[화(火)] 폐열(肺熱) 1250
[화(火)] 비열(脾熱) 1384
[화(火)] 중초열(中焦熱) 1448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49
[화(火)] 골증열(骨蒸熱) 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