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5가지 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병이 된다[五味過傷爲病]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431 추천 수 0
◎ 五味過傷爲病 ○ 酸主筋多食之令人?(小便不通也) ○ ?走血多食之令人渴 ○ 辛走氣多食之令人洞心(心液爲汗洞心謂汗出也) ○ 苦走骨多食之令人變嘔 ○ 甘走肉多食之令人?心(?與悶同) [靈樞] ○ 多食鹹則脈凝澁而變色多食苦則皮槁而毛拔多食辛則筋急而爪枯多食酸則肉??而脣揭多食甘則骨痛而髮落[內經]

☞ 5가지 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병이 된다[五味過傷爲病]

 ○ 신맛[酸]은 힘줄로 가는데 많이 먹으면 오줌이 나오지 못한다. ○ 짠 맛은 피로 가는데 너무 많이 먹으면 갈증이 난다. ○ 매운 맛[辛]은 기(氣)로 가는데 너무 많이 먹으면 통심(洞心)이 된다(심의 진액은 땀이다. 통심이란 땀이 난다는 말이다). ○ 쓴 맛[苦]은 뼈로 가는데 너무 많이 먹으면 구역한다. ○ 단맛[甘]은 살로 가는데 너무 많이 먹으면 가슴이 답답하다[영추]. ○ 짠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혈맥이 잘 돌지 못하면서 빛이 변한다. 쓴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피부가 말라서 털이 빠진다. 매운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힘줄이 땅기면서 손발톱이 마른다. 신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살이 굳어지며 입술이 튼다. 단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뼈가 아프고 털이 빠진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食藥療病] 786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0
[내상(內傷)] 음식물의 정기가 음양으로 변화되어 영과 위로 들어간다[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679
[내상(內傷)] 내상에는 음식상과 노권상의 2가지 원인이 있다[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1018
[내상(內傷)] 맥 보는 법[脈法] 542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내상(內傷)]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1261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4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내상(內傷)] 술에 상한 것[酒傷] 846
[내상(內傷)] 술을 마시는 데서 꺼려야 할 것[飮酒禁忌] 662
[내상(內傷)] 술독은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酒毒變爲諸病] 726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5
[내상(內傷)]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1955
[내상(內傷)] 노권상(勞倦傷) 918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내상(內傷)]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1960
[내상(內傷)] 내상병 때 비위가 허하고 실한 것[內傷病脾胃虛實] 726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2
[내상(內傷)] 비기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脾結不食] 678
[내상(內傷)] 생각을 지나치게 하여 기가 몰려 먹지 못하는 것[思結不食] 582
[내상(內傷)]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1106
[내상(內傷)]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776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내상(內傷)] 내상으로 여러 가지 병이 된다[內傷變爲諸病] 615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내상(內傷)] 조잡증(?雜證) 2346
[내상(內傷)] 오농(懊?) 726
[내상(內傷)] 트림[噫氣] 1830
[내상(內傷)] 열격과 반위[?膈反胃] 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