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침뜸치료[鍼炙法]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488 추천 수 0
◎ 鍼炙法 ○ 胃弱不思飮食取三里三陰交 ○ 三焦邪熱不嗜食取關元[綱目] ○ 全不思食取然谷出血立飢 ○ 飢不能食飮食不下取章門期門[東垣] ○ 飮食不多心腹膨脹面色萎黃世謂脾腎病宜炙中脘[資生] ○ 食多身瘦名曰食晦先取脾兪後取章門太倉[資生] ○ 飮食不下膈塞不通邪在胃脘刺法在上脘則抑而下之在下脘則散而去之[靈樞] ○ 胃病飮食不下取三里[東垣] ○ 吐宿汁呑酸取章門神光[東垣]

☞ 침뜸치료[鍼炙法]

 ○ 위(胃)가 허약하여 음식생각이 없는 데는 족삼리(足三里)와 삼음교(三陰交) 혈에 놓는다. ○ 3초(三焦)에 사열(邪熱)이 있어서 음식맛을 잃은 데는 관원혈(關元穴)에 놓는다[강목]. ○ 전혀 음식생각이 없는 데는 연곡(然谷)혈에 침을 놓아 피를 빼면 입맛이 난다. ○ 배고프면서도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데는 장문(章門)과 기문혈(期門穴)에 놓는다[동원]. ○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고 명치 밑이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얼굴빛이 누르스름하게 되는 것은 비신병(脾腎病)이므로 중완혈(中脘穴)에 뜸을 뜬다[자생]. ○ 음식은 많이 먹으나 몸이 여위는 것을 식회(食晦)라고 하는데 먼저 비수(脾兪)혈에 놓은 다음 장문(章門)과 태창(太倉)혈에 놓는다[자생]. ○ 먹은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가슴에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은 사기가 위완(胃脘)에 있기 때문이다. 상완에 있으면 상완(上脘)혈에 침을 놓아 억제하면서 내리고 하완에 있으면 하완(下脘)혈에 침을 놓아 흩어지게 한다[영추]. ○ 위병(胃病)으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데는 족삼리(足三里)혈에 놓는다[동원]. ○ 탄산(呑酸) 및 토산(吐酸)에는 장문(章門)과 신광(神光)혈에 놓는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술독은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酒毒變爲諸病] 726
[내상(內傷)] 술을 마시는 데서 꺼려야 할 것[飮酒禁忌] 662
[내상(內傷)] 술에 상한 것[酒傷] 846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내상(內傷)]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1262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내상(內傷)] 맥 보는 법[脈法] 542
[내상(內傷)] 내상에는 음식상과 노권상의 2가지 원인이 있다[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1018
[내상(內傷)] 음식물의 정기가 음양으로 변화되어 영과 위로 들어간다[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680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2
[내상(內傷)]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食藥療病] 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