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447 추천 수 0

喘嗽熏藥 久喘嗽非此不除南星款冬花鵝管石(無則石鍾乳代)佛耳草雄黃等分爲末拌艾以生薑一片留舌上次用艾燒之須令烟入喉中一方無佛耳草有鬱金[丹心] 久咳夜咳冬咳風入肺竅者宜熏之[入門] 久嗽風入肺鵝管石雄黃鬱金各一錢款冬花三錢爲末每取二錢拌艾捲作筒子燒烟吸入口中溫茶常?下[入門] 款冬花如鷄子大蜜拌潤之用有?瓦?中燒藥却以@?****8?當口吸烟嚥之甚效[綱目] 無款冬花則用紫?茸如上法熏之亦佳[俗方]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오래된 천식과 기침은 이 약이 아니면 낫지 않는다. 천남성, 관동화, 아관석(鵝管石, 없으면 대신 석종유(石鍾乳)를 쓴다), 불이초, 웅황@)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쑥에 섞는다. 그리고 먼저 생강 1쪽을 혓바닥에 놓고 그 위에 약을 섞은 쑥을 놓은 다음 불을 달아서 연기가 목구멍에 들어가게 한다. 어떤 처방에는 불이초가 없고 울금이 있다[단심]. 오랜 기침, 밤에 나는 기침, 겨울에 나는 기침으로 풍사(風邪)가 기관지로 들어간 데는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오랜 기침으로 풍사가 폐에 들어간 데는 아관석, 웅황,울금 각각 4g, 관동화 12g을 가루내어 쓰는데 한번에 8g씩 뜸쑥에 버무려 종이에 말아서 뜸대를 만든 다음 태우면서 그 연기를 빨아들이고 입에 따뜻한 찻물을 머금었다가 넘긴다[입문]. 관동화를 달걀만큼 봉밀에 눅여지도록 버무려서 병 안에 넣고 불을 붙인 다음 곧바로 그 병 입구를 입에 대고 연기를 빨아들이면 효과가 좋다[강목]. 관동화가 없으면 자완용을 위의 방법과 같이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것이 좋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기침(咳嗽)] 담천(痰喘) 1123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기침(咳嗽)] 천식에는 8가지가 있다[喘證有八] 692
[기침(咳嗽)]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1341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6
[기침(咳嗽)] 화수(火嗽) 854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기침(咳嗽)] 주수(酒嗽) 667
[기침(咳嗽)] 혈수(血嗽) 602
[기침(咳嗽)] 건수(乾嗽) 1685
[기침(咳嗽)] 담수(痰嗽) 1550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기침(咳嗽)] 울수(鬱嗽) 912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기침(咳嗽)] 열수(熱嗽) 939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기침(咳嗽)]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759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699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기침(咳嗽)] 기침병의 원인[咳嗽病因] 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