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해역증(咳逆證)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564 추천 수 0
◎ 咳逆證 ○ 咳逆一曰吃逆乃氣病也氣自臍下直衝上出於口而作聲之名也內經曰諸逆衝上皆屬於火古方悉以胃弱言之而不及火且以丁香??竹茹陳皮等劑治之未審孰爲降火孰爲補虛人之陰氣依胃爲養胃土損傷則木來侮之矣陰爲火所乘不得內守木挾相火乘之故直衝淸道而上言胃弱者陰弱也虛之甚也[丹心] ○ 孫眞人云咳逆遍尋方論無此名稱盖咳逆者?逆之名古人以咳逆爲?耳大抵咳逆者卽內經所謂病甚者其聲?是也?者今人所謂乾嘔是也[類聚] ○ 咳逆者氣逆上衝而作聲也俗謂之?逆是也其發也或三五聲而止或七八聲而止或有連續不絶收氣不回者或有病久脾胃衰敗而發咳逆額上出汗連聲不絶者最爲惡候乃不治之證也[醫鑑]

☞ 해역증(咳逆證)

 ○ 해역을 흘역(吃逆)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기(氣)로 생기는 병이다. 기가 배꼽 아래에서 위로 곧추 치밀어 올라 입으로 나오면서 나는 소리가 딸꾹질이다. 『내경』에 치밀어 오르는 것은 다 화(火)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옛날 의학책들에는 다 이것은 위가 허약하기 때문이라고 씌어 있지 화 때문이라고는 씌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정향, 감꼭지, 죽여, 陳皮 등으로 치료는 하였으나 어느 것이 화를 내리는 것이고 어느 것이 허한 것을 보하는 것인지 잘 몰랐다. 음기(陰氣)는 위에서 보충되는데 위가 상하여 간이 억누르게 되면 음기가 화(火)에 눌리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게 된다. 이 틈을 타서 간기가 상화(相火)를 끼고 청도(淸道)로 곧추 치밀어 오르게 된다. 위가 약하면 음기도 허약해지므로 몸이 몹시 허약해진다[단심]. ○ 손진인은 "의학책을 아무리 찾아보아도 해역이라는 이름은 없다. 그러니 해역이란 얼역(?逆)을 말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옛날 사람들은 해역을 얼이라고 하였다. 해역이라는 것은 『내경』에 병이 심하면 얼이 된다고 한 것이다. 완(?)이라는 것은 요즘 헛구역이라고 하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유취]. ○ 해역이라는 것은 기가 위로 치밀어 올라와서 나는 소리를 말하는데 이것을 민간에서는 딸꾹질이라고 한다. 이것은 세번에서 다섯번 발작하다가 멎거나 일곱에서 여덟번 발작하다가 멎는다. 그러나 혹 연속되면서 멎지 않을 때도 있는데 이때에는 숨도 돌릴 수 없게 된다. 오랫동안 앓아서 비위가 약해지면 딸꾹질이 나며 이마에 땀이 나고 딸꾹질이 멎지 않기도 한다. 이것은 매우 좋지 못한 증상인데 치료하기도 어렵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기침병의 원인[咳嗽病因] 796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699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기침(咳嗽)]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759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기침(咳嗽)] 열수(熱嗽) 939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기침(咳嗽)] 울수(鬱嗽) 912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기침(咳嗽)] 담수(痰嗽) 1550
[기침(咳嗽)] 건수(乾嗽) 1685
[기침(咳嗽)] 혈수(血嗽) 602
[기침(咳嗽)] 주수(酒嗽) 667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기침(咳嗽)] 화수(火嗽) 854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6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기침(咳嗽)]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1341
[기침(咳嗽)] 천식에는 8가지가 있다[喘證有八] 692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기침(咳嗽)] 담천(痰喘) 1123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기침(咳嗽)] 수천(水喘) 959
[기침(咳嗽)] 오랜 천식[久喘] 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