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531 추천 수 0
◎ 癰疽名狀 ○ ?一寸至二寸爲癤二寸至五寸爲癰五寸至一尺爲疽一尺至二尺爲竟體疽 ○ 未潰色紫黑堅硬已潰深陷如巖爲癌男則多發於腹女則多發於乳也四畔生如牛脣黑硬爲?多見於手指之間或生於口齒?臍其無頭面色淡紅爲痼大?丁瘡惡類也[入門] ○ 徑一寸二寸爲癤三寸五寸腫圓赤爲癰八寸爲疽[得效] ○ 熱發於皮膚之間浮腫根小至大不過二三寸者癤也[東垣] ○ 瘍有頭小瘡也疹浮小?疹也[河間]

☞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 너비가 1~2치 되는 것은 절(癤)이고 2~5치 되는 것은 옹(癰)이다. 5치~1자 되는 것은 저(疽)이고 1~2자 되는 것은 경체저(竟體疽)이다. ○ 헤어지지 않고[未潰] 검붉어지면서 단단하거나 헤진 다음에 푹 꺼져들어가 암초같이 되는 것은 암인데 남자는 배에 많이 생기고 여자는 젖에 많이 생긴다. 빛이 소 주둥이 같이 검고 단단한 것이 생기는 것은 표(?)인데 손가락에 많이 생긴다. 간혹 입안이나 배꼽에 생기기도 한다. 꼭대기가 없고 빛이 약간 벌건 것은 오랫동안 낫지 않는데 이것은 정창이 심해진 것이다[입문]. ○ 직경이 1~2치 되는 것은 절(癤)이고 3~5치 정도 되게 둥그스럼하고 벌겋게 붓는 것은 옹(癰)이고 8치 정도 되는 것은 저(疽)이다[득효]. ○ 열이 피부 사이에서만 나고 헌데의 뿌리가 작고 붓는데 크다고 해도 2~3치를 넘지 않는 것은 절(癤)이다[동원]. ○ 양은 꼭대기가 뾰족한 작은 헌데이고 진은 좁쌀알 같은 것이 피부에 돋는 것인데 두드러기 같다[하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1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정저(?疽) 458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0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