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398 추천 수 0
◎ 腸癰治驗 ○ 一婦腹痛百方不效孫兆診曰腹痛脈當沈細今反滑數此腸癰也雲母膏作丸溫酒呑下服一兩下膿血而安[綱目] ○ 灸腸癰法屈兩?正?頭銳骨端是穴灸百壯下膿血而安[千金]

☞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 어떤 부인이 배가 아파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손조(孫兆)가 진찰하고 나서 배가 아플 때에는 반드시 맥이 침세(沈細)해야 하는데 반대로 활삭(滑數)하니 장옹이라고 하면서 운모고 약재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40g을 데운 술에 타 먹였다. 그러자 피고름이 나오고 나았다[강목]. ○ 장옹 때 뜸을 뜨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팔을 구부리고 팔꿈치뼈의 뾰족한 끝에 혈을 잡아 뜸을 1백 장 뜨면 피고름이 나오고 낫는다[천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정저(?疽) 458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1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