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정저(?疽)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458 추천 수 0
◎ ?疽 ○ 發於足上下名曰四淫其狀大癰不急治之百日死 ○ 發於足傍名曰?疽其狀不大初從小指發急治之去其黑者不消輒益不治百日死 ○ 發於足指名曰脫疽其狀赤黑者死不治不赤黑者不死治之不衰急斬之否則死[靈樞] ○ 膏粱之變足生大丁[內經] ○ ?瘡初發突起如釘盖故謂之?近世多見因食自死牛馬禽獸之肉而發或感襲天地暴?之氣而發或恣食辛辣厚味積毒而發其形有十三種治法皆同初起僅一小瘡殺人於一二日之內比之癰疽尤毒又有紅絲?魚臍?其毒尤甚[入門] ○ ?瘡發無定處在手足頭面胸背骨節間最急其餘處爲緩[正傳]

☞ 정저(?疽)

 ○ 발의 아래 위에 생긴 것을 사음(四淫)이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큰 옹저와 같다. 이것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 발의 옆에 생긴 것을 여저(?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크지 않다. 이것이 처음에는 새끼발가락에 생기는데 이때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치료하여도 검은 것이 삭지 않으면 점차 더 심해져서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 발가락에 생기는 것을 탈저(脫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가 검붉은 것은 치료할 수 없고 검붉지 않은 것은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하여도 낫지 않을 때에는 빨리 잘라버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영추]. ○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곧 정창(?瘡)이 생긴다[내경]. ○ 정창이 처음 생길 때 못머리 같은 것이 도드라져 나오기 때문에 정(?)이라고 한다. 요즘에 와서는 흔히 저절로 죽은 소나 말이나 새 등 짐승의 고기를 먹고 이 병에 걸리는 것이 있다. 혹은 천지의 세찬 기운에 감촉되어도 생기고 맛이 맵고 기름진 음식을 절도없이 먹어 독이 몰려도 생긴다. 그 형태는 13가지이지만 치료법은 다 같다. 처음 생길 때에는 헌데가 아주 작다. 그러나 1-2일 사이에 사람을 죽게 하는 것은 옹저보다 더 심하다. 또한 홍사정(紅絲?)과 어제정(魚臍?)은 독이 더 심하다[입문]. ○ 정창이 일정한 곳에 생기지는 않는다. 그러나 팔다리, 머리, 얼굴, 가슴, 등의 뼈마디에 생긴 것이 제일 위급하다. 그 나머지 것은 완만하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7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9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