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397 추천 수 0
◎ ?疽形證 ○ ?疽生黃疱中或紫黑色初發必先痒後痛先寒後熱四肢沈重頭痛心驚眼花若大重則嘔逆爲難治[三因] ○ 瘡頭黑硬如釘四畔帶赤如火盤根突起隨變焦黑未幾腫大而光轉爲濕爛深孔透肌如大鍼穿之狀[入門] ○ 外證心驚頭痛拘急惡寒四肢痛强或寒熱交作頰舌間赤黑點點如珠[直指] ○ 或不痛痒只麻木寒熱眼中流火牙關緊急時時驚?甚則嘔吐[諸證中嘔吐最危]以鍼刺瘡不痛無血是其候也又中陷如釘盖?之有根是?也[精義]

☞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 정저 때에는 살이 누렇게 부풀어 오르는데 그 가운데가 혹 검붉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초기에는 반드시 먼저 가렵다가 아프고 춥다가 열이 나며 팔다리가 무겁고 머리가 아프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눈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보인다. 몹시 심해지면 구역이 나는데 이와 같이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삼인]. ○ 헌데 꼭대기가 검고 단단하여 못같고 그 둘레가 불같이 새빨갛게 되면서 벌건 줄이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도드라져 올라온다. 그러나 곧 검게 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몹시 부어서 번들번들해진다. 그러다가 점차 물기가 돌면서 헤쳐지고 구멍이 깊이 뚫리는데 마치 굵은 침으로 뚫어 놓은 것 같다[입문]. ○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아프며 몸이 가드라들고 오한이 나며 팔다리가 아프면서 뻣뻣해지고 혹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뺨과 혀의 여기저기에 검붉고 구슬같은 점이 생긴다[직지]. ○ 아프지도 않고 가렵지도 않으면서 단지 감각만 둔해지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눈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빙빙 돌고 이를 악물며 때로 놀라는데 심하면 토한다(여러 가지 증상에서 토하는 것이 제일 위급한 것이다). 침으로 헌데를 찔러도 아프지 않고 피가 나오지 않는 것이 정저의 증상이다. 또한 가운데가 움푹 꺼져 들어간 것이 못머리 같으면서 만져보면 근(根)이 있는 것이 정저이다[정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7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9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6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