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20 추천 수 0
◎ 癰疽寒熱 ○ 癰疽未愈之間先嘔痰而寒熱汗出而止或連日或間日宜服加味不換金正氣散[得效] ○ 癰疽虛證寒戰明乳香硏細半兩每一錢熱水調下戰發於肝乳香着肝而溫之寒戰隨止[直指]

☞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 옹저가 낫기 전에 먼저 가래를 토하면서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은 땀이 나야 멎는데 이것이 매일 생기거나 하루 건너 생길 때에는 가미불환금정기산을 써야 한다[득효]. ○ 옹저 때 허증(虛證)으로 오한이 나면서 떨리는 데는 투명한 유향 20g을 부드럽게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 떨리는 것은 간(肝)과 관련된 것이다. 유향은 간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이것을 쓰면 오한이 나면서 떨리던 것이 곧 멎는다[직지].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조리하는 방법과 금하는 것[調理及禁忌法] 357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옹저(癰疽)]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413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0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옹저(癰疽)] 정저(?疽) 458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뜸뜨는 방법[癰疽灸法] 472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