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72 추천 수 0
◎ 簽刺傷 ○ 竹木刺入肉不出瞿麥濃煎取汁飮日三[本草] ○ 又鹿角燒爲末水和塗立出[本草] ○ 又乾羊屎燒灰和猪脂塗之不覺自出[本草] ○ 又人頭垢塗之卽出又烏雄鷄生搗?之亦出[本草] ○ 又白梅肉嚼封之刺卽出又栗楔生嚼?之亦出又??硏付之妙又??生硏?之亦妙又??碎付之刺卽出又牛膝根?爛塗之亦出又魚?取付瘡上四邊肉爛刺卽出[本草] ○ 魚骨在肉中不出嚼吳茱萸封之骨當爛出又取海獺皮煮汁服又魚狗烏燒爲末和飮頓服又象牙末厚塗自軟出[本草] ○ 鐵棘竹木刺入肉不出鼠腦厚塗之卽出[本草]

☞ 참대꼬챙이에 찔린 것[簽刺傷]

 ○ 참대가시[竹木]가 살에 찔려서 나오지 않는 데는 구맥@)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하루에 3번 마신다[본초]. ○ 또는 녹각을 태워 가루내어 물에 개서 발라도 가시가 곧 나온다[본초]. ○ 또는 건양시(乾羊屎)를 태워 가루내어 돼지기름(저지)을 개서 바르면 저도 모르게 저절로 나온다[본초]. ○ 오계(烏鷄, 수컷)를 생것으로 짓찧어 붙여도 나온다[본초]. ○ 또는 백매(白梅)를 씹어서 붙여도 가시가 곧 나온다. 또는 밤을 생것으로 씹어서 붙여도 나온다. 또는 도루래(누고)를 짓찧어 붙여도 좋다. 또는 허리가 잘룩한 벌(얼옹)을 산 채로 잡아 짓찧어 붙이면 가시가 잘 나온다. 또는 굼벵이(제조)를 짓찧어서 붙여도 가시가 곧 나온다. 또는 우슬을 짓찧어 붙여도 나온다. 또는 물고기부레를 상한 자리의 언저리, 살이 진문데 발라도 곧 나온다[본초]. ○ 물고기뼈가 살 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에는 오수유를 씹어 붙이면 고기뼈가 연해져서 나온다. 또는 수달껍질을 끓여서 그 물을 먹는다. 또는 물총새를 태워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단번에 먹는다. 또는 상아를 가루내어 두껍게 발라도 저절로 연해져서 나온다[본초]. ○ 또는 쇠부스러기, 참대가시, 나뭇가시가 살에 들어가 나오지 않을 때에는 쥐골[鼠腦]을 두껍게 바르면 곧 나온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상(諸傷)] 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진 것[骨折筋斷傷] 1066
[제상(諸傷)] 단방(單方) 482
[제상(諸傷)] 맥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脈候及不治證] 473
[제상(諸傷)] 타박을 받아 부은 것을 내리고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打撲傷消腫滅瘢] 676
[제상(諸傷)] 넘어졌거나 얻어맞았거나 떨어졌거나 깔려 상한 것[ 撲墮落壓倒傷] 1230
[제상(諸傷)] 단방(單方) 520
[제상(諸傷)] 구급치료방법[救急方] 671
[제상(諸傷)] 화살촉이나 날이 선 쇠붙이가 뼈나 혈맥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것[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501
[제상(諸傷)] 피를 멎게 하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며 상처를 아물게 하는 약[止血生肌合瘡藥] 655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에는 먼저 피를 고르게 해야 한다[金瘡先宜調血] 708
[제상(諸傷)] 배와 장이 상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腸?傷治法] 605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460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한 것[金刃傷]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