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601 추천 수 0
◎ 嚥津服水法 ○ 飢餓欲死便閉口以舌攪上下齒取津液而嚥之一日得三百六十嚥便佳漸習乃可至千自然不飢三五日小疲極過此便漸輕强若有水處卒無器便以左手?水呪曰丞椽吏之賜眞乏粮正赤黃行無過城下諸醫以自防呪畢三叩齒右手指三叩左手如此三遍便飮之有盃器貯水尤佳如法日服三升便不飢[千金]

☞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 배가 고파서 죽을 지경일 때에는 입을 다물고 혀로 아래윗이빨을 핥으면서 침을 모아 하루에 360번 삼키면 좋다. 이런 방법을 점차로 연습하여 천 여 번 삼키면 저절로 배가 고프지 않은데 3-5일 간은 좀 피곤하다. 그러나 이런 때가 지나면 점차 몸이 가벼워지고 든든해진다[輕强]. 만일 물은 있는 곳인데 그릇이 없으면 왼손에 물을 떠들고 주문(승연리지사 진핍양정 적황행무과 성하제의 이자방)을 외운 다음 3번 이빨을 맞쫓고 오른쪽 손가락으로 왼손을 3번 치고 물을 마셔야 한다. 물을 떠서 먹을 잔이 있으면 더 좋다. 이런 방법으로 하루 3되씩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천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法] 262
[잡방(雜方)] 달인술(煮酒) 269
[잡방(雜方)]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293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346
[잡방(雜方)] 구고고(救苦膏) 347
[잡방(雜方)]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358
[잡방(雜方)] 양련추석법(陽煉秋石法) 365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잡방(雜方)] 노회고(爐灰膏) 379
[잡방(雜方)] 홍소주를 만드는 방법[造紅燒酒法] 387
[잡방(雜方)] 백룡고(白龍膏) 394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잡방(雜方)] 백화춘(白花春) 403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
[잡방(雜方)] 구기자주(枸杞子酒) 411
[잡방(雜方)] 계명주(鷄鳴酒) 413
[잡방(雜方)] 옥용고(玉容膏) 413
[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414
[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416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