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378 추천 수 0
? 造半夏麴法 ○ 半夏不以多少爲末以生薑汁白礬湯等分和勻造麴楮葉包?風乾然後乃入藥 ○ 風痰以?角煮汁去渣煉膏和 ○ 火痰老痰以竹瀝入薑汁和 ○ 濕痰寒痰以生薑濃煎湯加枯白礬三分之一和(如半夏三兩枯白礬一兩)造麴如前法 ○ 又以霞天膏(方見吐門)加白芥子三分之二薑汁礬湯竹瀝造麴能使痰積沈?隋大小便出[丹心]

☞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 반하를 가루내어 생강즙과 백반 끓인 물을 같은 양으로 하여 섞은데 넣어서 누룩을 만든다. 이것을 닥나무잎에 싸서 바람에 말려 약에 넣는다. ○ 풍담(風痰)에는 조협(조각)을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묽은 고약처럼 만든데 풀어서 쓴다. ○ 화담(火痰)과 노담(老痰)에는 죽력과 생강즙을 섞은데 풀어서 쓴다. ○ 습담(濕痰)과 한담(寒痰)에는 생강을 진하게 달인 물에 백반(구운 것)을 그 물량의 3분의 1이 되게 타서(가령 반하가 120g이면 구운 백반은 40g이 되게 한다.) 위의 방법과 같이 누룩을 만든다. ○ 또는 하천고(霞天膏, 처방은 구토문에 있다)에 흰겨자를 3분의 2정도 넣고 여기에 생강즙, 백반 끓인 물, 죽력을 넣어 섞어서 만든 누룩은 담적(痰積)과 오랜 냉병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으로 풀려나가게 한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지황주(地黃酒) 496
[잡방(雜方)] 신선태을고 493
[잡방(雜方)] 비전삼선고[秘傳三仙?] 492
[잡방(雜方)] 과실나무 위에 까마귀나 새가 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果樹上烏鳥法] 488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4
[잡방(雜方)] 음련추석법(陰煉秋石法) 482
[잡방(雜方)] 짐승이 먹으면 곧 취하는 것[獸食物卽醉] 480
[잡방(雜方)] 피난갈 때 어린이가 울지 않게 하는 방법[避難止小兒哭法] 480
[잡방(雜方)]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477
[잡방(雜方)] 물고기를 죽이는 방법[殺魚] 476
[잡방(雜方)] 무술주(戊戌酒) 474
[잡방(雜方)]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解鬱氣] 471
[잡방(雜方)] 헛것을 쫓아버리고 신명이 통하게 하는 방법[去鬼通神] 468
[잡방(雜方)] 전약을 만드는 방법[造煎藥法] 464
[잡방(雜方)] 6가지 천기를 마시는 방법[服六天氣法] 461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잡방(雜方)]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集鼠] 438
[잡방(雜方)] 녹각죽(鹿角粥) 436
[잡방(雜方)] 죽력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432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416
[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414
[잡방(雜方)] 계명주(鷄鳴酒) 413
[잡방(雜方)] 옥용고(玉容膏) 413
[잡방(雜方)] 구기자주(枸杞子酒) 411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