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노회고(爐灰膏)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379 추천 수 0
? 爐灰膏 ○ 治癰疽惡瘡內點去瘀肉最妙用響糖爐內灰(無則桑柴灰代之)一升半風化石灰一升炒紅以箕子盛貯用滾湯三椀慢慢淋自然汁一椀許銅鍋盛慢火熬如稀糊先下巴豆末次下蟾?各二錢白丁香末五分石灰炒一錢攪勻再熬如乾?糊取起候冷磁罐盛貯勿令泄氣每用時以簪頭挑少許放指甲上硏呵氣調勻如泥用鍼撥開患處以藥點之勿點好肉及眼上[入門]

☞ 노회고(爐灰膏)

○ 옹저나 악창을 치료한다. 헌데 속에 넣으면 궂은 살[瘀肉]이 없어지는데 아주 좋다. ○ 향당로안의 재(없으면 대신 뽕나무재를 쓴다) 1되 5홉, 풍화된 석회(벌겋게 볶은 것) 1되. ○ 위의 약들을 키에 담아놓고 거기에 끓는 물 3사발을 천천히 부으면서 잿물을 1사발 받는다. 이것을 구리그릇에 담아서 약한 불에 달이다가 묽은 풀처럼 되면 먼저 파두가루 8g를 넣은 다음 두꺼비진(섬수) 8g, 백정향가루 2g, 석회(볶은 것) 4g을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다시 밀가루풀처럼 되게 달여 꺼낸다. 다음 식혀서 사기그릇에 담고 약기운이 새지 않게 하여 둔다. 쓸 때마다 조금씩 묻혀서 손톱 위에 놓고 입김을 쏘여 고약같이 만들어 쓰는데 침으로 앓는 자리를 약간 헤쳐놓고 거기에 붙인다. 성한 살이나 눈에 닿아서는 안 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法] 262
[잡방(雜方)] 달인술(煮酒) 269
[잡방(雜方)]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293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346
[잡방(雜方)] 구고고(救苦膏) 347
[잡방(雜方)]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358
[잡방(雜方)] 양련추석법(陽煉秋石法) 365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잡방(雜方)] 노회고(爐灰膏) 379
[잡방(雜方)] 홍소주를 만드는 방법[造紅燒酒法] 387
[잡방(雜方)] 백룡고(白龍膏) 394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잡방(雜方)] 백화춘(白花春) 403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
[잡방(雜方)] 구기자주(枸杞子酒) 411
[잡방(雜方)] 계명주(鷄鳴酒) 413
[잡방(雜方)] 옥용고(玉容膏) 413
[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414
[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416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