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663 추천 수 0
◎ 産後淋瀝遺尿 ○ 婦人産理不順致傷遺尿無時宜用參朮膏[丹心] ○ 産後淋宜用茅根湯[三因] ○ 産後遺尿宜桑??散黃?芍藥湯[三因]

☞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 해산을 잘못하여 상해서 소변을 아무 때나 자기도 모르게 누는 데는 삼출고(參朮膏)를 쓰는 것이 좋다[단심]. ○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데는 모근탕(茅根湯)을 쓴다(삼인]. ○ 해산 후에 유뇨증이 있는 데는 상표초산(桑??散), 황기작약탕(黃?芍藥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삼인]. 

? 參朮膏 ○ 治産後?損成淋人參二錢半白朮二錢黃?一錢半陳皮桃仁白茯?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猪羊?後入藥再煎去滓溫服空心 ○ 一産婦因收生者不謹損破尿?而致淋瀝不禁遂爲廢疾因思肌肉在外而破尙可補完診其脈虛甚試與峻補服參朮膏至一月而安盖血氣驟長其?自完恐稍遲亦難成功[丹心]
☞ 삼출고(參朮膏) ○ 해산 후에 방광이 상하여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 인삼 10g, 백출 8g, 황기 6g, 陳皮, 도인, 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돼지나 양의 방광[猪羊?]을 물에 넣고 삶다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해서 빈속에 먹는다. ○ 어떤 산모가 해산방조[收生]를 잘못 받는 데로부터 방광이 상하여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멎지 않아 병신같이 되었다. 이것을 보고 겉의 기육(肌肉)이 상한 것을 보하면 아물게 할 수 있지 않겠는가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환자의 맥을 짚어 보니 몹시 허하였다. 그래서 시험적으로 세게 보하는 삼출고를 1달쯤 먹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기혈이 왕성해짐으로써 상한 방광이 나은 것이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었더라면 낫기 어려웠을 것이다[단심]. 

? 茅根湯 ○ 治産後淋白茅根四兩白茯?二兩瞿麥葵子人參各一兩蒲黃桃膠滑石甘草各五錢紫貝五箇石首魚頭中石十六箇右爲末每二錢木通湯調下或爲#末三錢燈心同煎服亦可[三因]
☞ 모근탕(茅根湯) ○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 모근 160g, 백복령 80g, 구맥,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40g, 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활석, 감초 각각 20g, 자패 5개, 조기머리 속의 흰뼈(石水魚頭中石) 16개.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목통 달인 물에 타 먹거나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등심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삼인]. 

? 桑??散 ○ 治産後淋數及遺尿桑??十五箇炒鹿茸?灸黃?各一兩半牡蠣粉人參赤石脂厚朴各一兩右爲末空心以米飮調下二錢[雲峽] ○ 又桑??酒炒爲末薑湯調下二錢亦效[綱目]
☞ 상표초산(桑??散) ○ 해산 후에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을 치료한다. ○ 상표초(볶은 것) 15개,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황기 각각 60g, 모려, 인삼, 적석지, 후박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운기]. ○ 또는 상표초(술로 축여 볶은 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타 먹어도 효과가 있다[강목]. 

? 黃?芍藥湯 ○ 治産後遺尿不禁黃?當歸尾白芍藥各一錢半白朮一錢人參陳皮各五分甘草灸三分右?作一貼水煎空心服[三因]
☞ 황기작약탕(黃?芍藥湯) ○ 해산 후 유뇨증과 소변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기, 당귀(잔뿌리), 백작약 각각 6g, 백출 4g, 인삼, 陳皮 각각 2g, 감초(볶은 것)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119 삼출고(參朮膏)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황기작약탕(黃뺢芍藥湯)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상표초산(桑앹솸散)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모근탕(茅根湯)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삼출고(蔘朮膏)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상표초산(桑??散) by 한닥터
  8. 방약합편 119 삼출고(參朮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504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551
[부인(婦人)] 아이를 낳게 하는 데는 쉽게 낳게 하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催生宜用滑利藥] 666
[부인(婦人)]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1126
[부인(婦人)] 해산 때의 10가지 증[十産候] 798
[부인(婦人)] 태아를 여위게 해서 낳기 쉽게 하는 것[瘦胎令易産] 806
[부인(婦人)]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1060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474
[부인(婦人)] 해산하려는 증후[欲産候] 545
[부인(婦人)] 임신부에게서 나타난 상태와 빛깔로 태아의 생사를 가리는 법[察色驗胎生死] 555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13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부인(婦人)] 임신 때의 몸조리[姙娠將理法] 527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藥物禁忌] 518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음식[飮食禁忌] 525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것[姙娠禁忌] 528
[부인(婦人)] 오조(惡阻) 1118
[부인(婦人)] 여자를 남자로 되게 하는 법[轉女爲男法] 702
[부인(婦人)] 쌍태와 삼태[雙胎品胎] 493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79
[부인(婦人)] 아들인가 딸인가를 알아내는 법[辨男女法] 862
[부인(婦人)] 임신이 되었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胎法] 625
[부인(婦人)] 임신맥(姙娠脈) 793
[부인(婦人)] 열 달 동안 태아가 자라는 것[十月養胎] 605
[부인(婦人)] 성생활에서 삼가해야 할 것[陰陽交合避忌] 723
[부인(婦人)] 임신[胎孕] 531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32
[부인(婦人)] 여자를 보는 법[相女法]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