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485 추천 수 0
◎ 小兒乳哺法 ○ 人生十六歲以前血氣俱盛如日方升如月方圓惟陰長不足腸胃尙脆而窄養之道不可不謹[東垣] ○ 凡初乳先須?去宿乳後與之 ○ 母欲寐卽奪其乳恐睡困不知飽足也 ○ 兒啼未定乳母勿遽以乳飮之恐停滯胸膈而成嘔吐也 ○ 乳後不與食哺後不與乳乳食相倂則難以剋化結於腹中作痛大抵成癖成積成疳皆自此始[得效] ○ 小兒血氣俱盛食物易消故食無時然腸胃尙脆而窄一切發熱難化之物皆宜禁絶只與乾?熟菜白粥非惟無病可以養德此外生栗味鹹乾?性凉可爲養陰之助然栗大補?大澁亦宜少與[東垣]

☞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 사람이 태어나서 16살 전까지는 혈과 기가 모두 왕성한 것이 마치 아침에 해가 떠오르는 것 같고 보름달이 둥글어지는 것과 같다. 만일 제대로 자라지 못하면 장위(腸胃)가 아직 연약하고 좁으므로 양육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동원]. ○ 대개 젖을 먹일 때에는 먼저 고인 젖을 좀 짜버리고 먹일 것이다. ○ 어머니가 자려고 할 때에는 곧 먹이던 젖을 짜버려야 한다. 그것은 어머니가 곤하게 잠들면 어린이가 젖을 지나치게 먹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다. ○ 어린이가 울음을 그치기 전에 젖을 먹이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젖이 가슴에 막혀서 토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 젖을 먹인 다음에 밥을 주지 말고 밥을 먹인 다음에 젖을 주지 말아야 한다. 젖과 밥이 한데 섞여지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뱃속에 뭉쳐서 배가 아프게 된다. 대개 벽(癖)이 되거나 적(積) 혹은 감질(疳疾)이 되는 것은 다 이런 데서부터 생겨난다[득효]. ○ 어린이들은 혈과 기가 다 왕성하고 음식이 쉽게 소화되어 먹는 것이 한정이 없으나 장위(腸胃)가 아직 연약하고 좁으므로 일체 열이 나게 하거나 잘 소화되지 않는 음식을 모두 금해야 한다. 다만 곶감과 익힌 채소와 흰죽을 주면 병이 없을 뿐 아니라 잘 자라게 된다. 이 밖에 생밤은 맛이 짜고 곶감은 성질이 서늘하므로 음을 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밤은 크게 보하고 감은 대변을 아주 굳게 하므로 이것들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조열(潮熱) 508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학열(?熱) 505
[소아(小兒)] 뇌감(腦疳) 502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9
[소아(小兒)] 5장감(五臟疳) 486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5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4
[소아(小兒)] 감갈(疳渴) 479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감리(疳痢) 47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포로감(哺露疳) 476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정해감(丁奚疳) 475
[소아(小兒)] 신전과 신함[?塡?陷] 473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감안(疳眼) 470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