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444 추천 수 0
◎ 面上形證歌 ○ 痢疾眉頭皺驚風面頰紅渴來脣帶赤毒熱眼?? ○ 山根若見脈橫靑此病明知兩度驚赤黑困疲時吐瀉色紅啼夜不曾停 ○ 靑脈生於左太陽須驚一度見推詳赤是傷寒微燥熱黑靑知是乳多傷 ○ 右邊靑脈不須多有則頻驚?奈何紅赤爲風抽眼目黑靑三日見閻羅[正傳]

☞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 눈썹머리 주름지면 이질(痢疾)일시 분명하고, 양쪽 볼이 붉은 것은 경풍으로 앓는 걸세, 안타깝게 목마르면 입술빛이 새빨갛고, 독한 열이 속을 치면 눈정기가 흐릿하네 ○ 산근(山根) 위에 가로 간 줄 색을 보아 병을 알고, 푸른 줄이 건너가면 두 번이나 놀란 걸세, 검붉은 줄 가로 서면 간혹 토사(吐瀉) 맥이 없고, 한 줄기의 붉은 줄은 밤울음증 멎지 않네 ○ 왼쪽 태양 푸른 줄은 한 번 몹시 놀란 걸세, 붉은 줄은 상한으로 열이 약간 나는 거고, 검푸른 줄 나타나면 젖에 많이 체했다네 ○ 오른쪽의 파란 줄은 놀라기를 자주 하고, 홍색이나 적색 줄은 눈 뒤집고 풍(風) 일구며, 검푸른 줄 나타나면 3일 후에 좋지 않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2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치경(?痙) 388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소아(小兒)]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394
[소아(小兒)] 감사(疳瀉) 395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감로(疳勞) 405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