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한닥터 2011.10.18 조회 수 580 추천 수 0
◎ 髮不生齒不生 ○ 髮不生者因稟受血氣不足不能榮於髮宜服?蓉元 ○ 齒不生者由齒者骨之所終髓之所養稟氣不足則髓不能充於骨故齒久不生宜服芎黃散[得效] ○ 齒久不生用雄雌散(方見齒門) ○ 長齒生牙賴雄鼠之骨末取大老鼠去肉取脊骨爲末擦牙?上日二次效[本草]

☞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 머리털이 나지 않는 것은 기혈이 부족한 체질이 머리털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종용원(?蓉元)을 먹이는 것이 좋다. ○ 이가 나오지 않는 것은 이는 뼈의 끝부분이고 골수가 영양하는 것인데 타고난 원기가 부족하면 골수가 뼈에 충만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가 오래도록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궁황산(芎黃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득효]. ○ 이가 오래도록 나오지 않는 데는 웅자산(雄雌散, 처방은 이빨문에 있다)을 쓴다. ○ 이를 자라게 하고 나오게 하려면 숫쥐뼈가 좋다. 크고 늙은 숫쥐를 잡아서 고기는 버리고 등뼈만을 가루내어 하루 두번 잇몸을 문지르면 효과가 난다[본초]. 

? ?蓉元 ○ 當歸生乾地黃肉?蓉白芍藥各一兩胡粉五錢右爲末蜜丸黍米大每十丸黑豆湯呑下兼磨化二三十丸塗擦頭上[得效]
☞ 종용원(?蓉元) ○ 당귀, 생건지황, 육종용, 백작약@) 각각 40g, 호분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검정콩(흑두) 달인 물로 먹이고 20-30알씩 풀어서 머리에 바른다[득효]. 

? 芎黃散 ○ 川芎生乾地黃當歸山藥白芍藥各一兩沈香五錢甘草三錢右爲末白湯調服半錢因將乾末?擦齒?上日二次[得效]
☞ 궁황산(芎黃散) ○ 천궁,생건지황, 당귀, 산약,백작약@) 각각 40g, 침향 20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끓인 물에 타서 먹이고 이어 마른 가루를 잇몸에 문지르는데 하루에 두번씩 한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골증열(骨蒸熱) 826
[소아(小兒)] 태열(胎熱) 514
[소아(小兒)] 조열(潮熱) 508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소아(小兒)] 폐열(肺熱) 634
[소아(小兒)] 비열(脾熱) 596
[소아(小兒)] 심열(心熱) 775
[소아(小兒)] 간열(肝熱) 818
[소아(小兒)] 여러 가지 열[諸熱] 975
[소아(小兒)]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394
[소아(小兒)] 감안(疳眼) 47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550
[소아(小兒)] 감창(疳瘡) 1230
[소아(小兒)] 감종(疳腫) 455
[소아(小兒)] 감리(疳痢) 478
[소아(小兒)] 감사(疳瀉) 395
[소아(小兒)] 감로(疳勞) 405
[소아(小兒)] 감갈(疳渴) 479
[소아(小兒)] 포로감(哺露疳) 476
[소아(小兒)] 정해감(丁奚疳) 475
[소아(小兒)] 무고감(無辜疳) 544
[소아(小兒)] 주마감(走馬疳) 673
[소아(小兒)] 척감(脊疳) 461
[소아(小兒)] 뇌감(腦疳) 502
[소아(小兒)] 회감(蛔疳) 443
[소아(小兒)] 냉열감(冷熱疳) 429
[소아(小兒)] 냉감(冷疳) 417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소아(小兒)] 5장감(五臟疳)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