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66 추천 수 0
◎ 滅瘢 ○ 痘?着痂卽用菜子油(卽蔓菁子)不住潤之可揭則揭若不潤及遲揭則瘡痂硬必隱成瘢痕[錢乙] ○ 痘成痂頻以?油或白蜜潤之可揭卽揭血出無妨若乾硬必成瘢痕 ○ 痘將?乾硬而痛宜以眞?潤之無?則猪脂煎汁代之[得效] ○ 痘痂雖落其瘢猶?肉起而或凹或凸當用滅瘢散?子水[綱目] ○ 痘落後宜用滅瘢痕方羊#骨髓一兩煉一二沸輕粉一錢右硏如膏每日塗瘡上 ○ 或用稀痘湯[綱目] ○ 蜜陀僧末臨臥塗面明朝洗去[本草]

☞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 구슬에 딱지가 앉으면 곧 순무씨 기름으로 끊임없이 적셔 주고 떨어지게 된 것은 떼버린다. 만일 적셔 주지 않거나 더디게 떼면 딱지가 굳어서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전을]. ○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는 자주 연유나 흰 꿀로 적셔 주고 떨어지게 된 때는 곧 떼버리는데 피가 나와도 해롭지 않다. ○ 만일 딱지가 말라서 굳어지면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 ○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 할 때에 마르고 굳어져서 아픈 데는 연유로 적셔 주는 것이 좋다. 연유가 없으면 대용으로 돼지기름을 졸여서 쓴다[득효]. ○ 구슬에 딱지가 떨어졌더라도 그 허물이 오히려 검거나 살이 울퉁불퉁하면 멸반산(滅瘢散), 현자수(?子水)를 늘 쓰는 것이 좋다[강목]. ○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후 허물을 없애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때는 양의 정강이뼈 속의 골수 40g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경분 4g을 넣는다. 이것을 잘 개어서 고약을 만들어 날마다 허물에 바른다. ○ 혹 희두탕(稀痘湯)을 쓰기도 한다[강목]. ○ 밀타승가루를 잠잘 무렵 얼굴에 바르고 다음날 아침에 씻어 버린다[본초]. 

? 滅瘢散 ○ 韶粉一兩(卽?粉)輕粉二分半右硏細煉猪油調和塗瘢上日三次[綱目]
☞ 멸반산(滅瘢散) ○ 연분 40g, 경분 1g. ○ 위의 약들을 잘 갈아서 졸인 돼지기름으로 개어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매일 세번씩 발라 준다[강목]. 

? ?子水 ○ 痘後以此洗面漸生肌肉無瘢痕取活?子不以多少以水養五日每日取此水常洗手面[入門]
☞ 현자수(?子水) ○ 마마를 앓은 뒤에 이 약으로 얼굴을 씻으면 살이 점점 살아 나와서 허물이 없어진다. ○ 산 가막조개 적당한 양을 5일 동안 물에 넣어 두었다가 그 물로 매일 손과 얼굴을 씻는다[입문]. 

? 稀痘湯 ○ 卽秘傳稀痘湯也凡痘收?時取此湯微溫洗面則無瘢痕洗半面則半面無瘢痕神效(方見上)[俗方]
☞ 희두탕(稀痘湯) ○ 즉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이다. 대개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 이 약물을 약간 따뜻하게 데워서 얼굴을 씻으면 허물이 없어진다. 얼굴 한쪽만 씻으면 한쪽만 허물이 없어지는 것이 묘하다[속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희두탕(稀痘湯)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멸반산(滅瘢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1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치경(?痙) 388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소아(小兒)]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394
[소아(小兒)] 감사(疳瀉) 395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감로(疳勞) 405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