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슬(牛膝, 쇠무릎)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690 추천 수 0
우슬(牛膝, 쇠무릎)
[脈]          12경맥을 돕는다. 쇠무릎을 물에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積聚]         징가가 뭉친 것과 갑자기 징가가 생겨 뱃속에 돌 같은 것이 있으면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40g을 잘게 썰어서 술에 달인 다음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초].

[足]          다리와 무릎이 아프며 여위고 약해져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알약을 먹거나 술에 담가 두고 그 술을 마셔도 다 좋다. 허리나 다리 병에는 이 약을 반드시 써야 한다[본초].

[腰]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쇠무릎을 달여 즙을 내서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술을 먹어도 좋다. 또한 연한 잎을 따서 쌀과 장을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기도 한다[본초].

[前陰]          음위증(陰 證)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는다.  ○ 부인이 처음 성생활을 한 다음부터 음부가 계속 아프면 쇠무릎(우슬) 80g을 술에 달여 먹어야 한다[본초].

[瘧疾]         노학(老 )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살찌고 큰 쇠무릎 1줌을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데 3제(三劑)만 쓰면 낫는다[본초].

[骨]          골수를 보한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毛髮]          머리털을 희어지지 않게 하는데 달여서 먹거나 술을 빚어 먹어도 좋다[본초].

[小便]         늙은이가 오줌이 나오는 줄을 모르는 데[遺尿] 쓴다.  ○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음경 속이 아파서 죽을 것 같은 데는 술에 달여 빈속에 먹어야 한다[본초].  ○ 우슬고(牛膝膏)는 어혈로 생긴 임병을 치료하는 데 제일 효과가 좋은 약이다. 쇠무릎(우슬) 40g을 썰어서 물 5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인 다음 사향을 조금 넣어서 빈속에 먹는다. 쇠무릎은 임병을 치료하는 데 제일 좋은 약이다[단심].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4 [아]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860
63 [아] 우치(牛齒, 소 이빨) 우황(牛黃) 1077
62 [아] 우신(牛腎, 소의 콩팥)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우유(牛乳, 소젖) 810
[아] 우슬(牛膝, 쇠무릎) 690
60 [아] 우비(牛脾, 소의 기레) 우비(牛鼻, 소코) 우수(牛髓, 소의 골수) 1078
59 [아]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818
58 [아] 우각새(牛角 , 소뿔속뼈) 우간(牛肝, 소간) 우두(牛 , 소의 위) 우락(牛酪, 졸인 젖) 1159
57 [아] 우(芋, 토란) 694
56 [아] 용뇌(龍腦) 814
55 [아] 용골(龍骨) 845
54 [아] 요(蓼, 여뀌) 요실(蓼實, 여뀌씨) 961
53 [아] 왕과(王瓜) 왕과근(王瓜根, 왕과뿌리,쥐참외뿌리) 884
52 [아] 와우(蝸牛, 달팽이) 702
51 [아] 와거자( 子, 부루씨) 935
50 [아] 와(蛙, 개구리) 683
49 [아] 온천(溫泉) 665
48 [아] 온무청즙(溫蕪菁汁, 따뜻한 순무즙) 893
47 [아]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오적어묵(烏賊魚墨, 오징어먹) 오적어육(烏賊魚肉, 오징어고기) 1233
46 [아] 오약(烏藥) 711
45 [아] 오아(烏鴉, 까마귀) 오아우(烏鴉羽, 까마귀깃)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