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신(牛腎, 소의 콩팥)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우유(牛乳, 소젖)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810 추천 수 0
우신(牛腎, 소의 콩팥)
[腎臟]         신을 보하는데 늘 먹어야 좋다[본초].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소의 음경(牛陰莖)을 구워 말린 다음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 먹는다[속방].  ○ 부인이 음부가 가렵고 아파서 안타까운 데는 소간(牛肝)이나 돼지간(猪肝)을 뜨겁게 구워서 쓰는데 음부 속에 밀어 넣으면 벌레가 다 나온다[본초].

우유(牛乳, 소젖)
[五臟六腑] 5장을 보한다. 죽을 쑤어서 늘 먹으면 좋다[본초].

[消渴]         소갈을 주로 치료하는데 생것을 갈증이 날 때 마신다. 또는 소젖죽을 쑤어서 늘 먹어도 좋다[본초].

[大腸腑] 대변을 잘 통하게 한다. 늘 죽을 쑤어 먹거나 생것을 마셔도 좋다[본초].

[嘔吐]         반위증과 열격을 치료하는 중요한 약이다. 부추즙 2잔, 소젖 1잔, 참대기름 반잔, 생강 20g으로 낸 즙을 함께 고루 타서 단번에 먹는다[의감].  ○ 어떤 사람이 반위증이 있으면서 대변이 굳어 나오지 않았다. 이것은 정혈(精血)이 몹시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먼저 사탕수수즙으로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부자, 대황을 넣어서 달여 먹은 다음 소젖만 15일 동안 마시면서 다른 음식은 먹지 않았다. 그랬더니 대변이 묽어지면서 나았다[단심].

[肺臟]         폐를 눅여 주고 보한다. 죽을 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肉]          허하여 몸이 여윈 것을 보하고 살찌게 한다. 우유로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火]          열독을 풀며 가슴에서 열이 나는 것을 없애는 데 소젖을 마시면 좋다. 검정소의 젖이 더욱 좋다[본초].

우육(牛肉, 쇠고기)
[脾臟]         비기를 보한다. 소의 위(牛 )가 더 좋은데 푹 끓여서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氣]         허(虛)한 것을 보하고 기도 보하며 기와 혈을 불쿠어 주고 좋게 한다. 소의 위가 매우 좋은데 푹 쪄서 먹는다[본초].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1)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4 [아] 우슬(牛膝, 쇠무릎) 690
[아] 우신(牛腎, 소의 콩팥) 우외신(牛外腎, 소의 음경) 우유(牛乳, 소젖) 810
42 [아] 우치(牛齒, 소 이빨) 우황(牛黃) 1077
41 [아]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나무뿌리)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860
40 [아] 운모(雲母) 698
39 [아] 울금(鬱金) 712
38 [아] 울눌제( 臍, 물개신) 해구신 1274
37 [아] 웅계비치리황피(雄鷄 裏黃皮, 수탉의 계내금) 웅계탕(雄 湯, 수탉고기 국물) 761
36 [아] 웅담(熊膽, 곰쓸개) 1121
35 [아] 웅묘뇨(雄猫尿, 수코양이오줌) 759
34 [아] 웅작분(雄雀糞) 웅작시(雄雀屎) 744
33 [아] 웅지(熊脂, 곰기름) 752
32 [아] 웅황(雄黃, 석웅황) 984
31 [아] 원잠아(原蠶蛾, 누에나비) 1352
30 [아] 원지(遠志) 813
29 [아] 원화(芫花) 672
28 [아] 위(蝟, 고슴도치) 위피( 皮, 고슴도치가죽) 801
27 [아]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725
26 [아] 위모(衛矛) 597
25 [아]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껍질) 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