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1006 추천 수 0
연실(蓮實, 연밥)
[身形]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오래 산다. 연밥의 껍질과 심을 버리고 가루내어 죽을 쑤거나 갈아서 싸라기를 내어 밥을 지어 늘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 또는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오래 산다[본초].

[神]        정신을 보양하는 데 많이 먹으면 성내는 것을 멎게 하고 기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마음이 즐거워진다. 죽을 쑤어 늘 먹으면 좋다.  ○ 오래 묵은 연밥(연실)의 검은 껍질을 버리고 살만 사기동이 안에 넣고 마른 채로 문질러서 위에 붙어 있는 붉은 껍질을 버린 다음 푸른 심만을 가루낸 것에 용뇌를 조금 두고 끓인 물에 타 먹는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정신을 깨끗이 한다[본초].

[虛勞]        여러 가지 허증을 보한다. 연밥(연육) 600g을 돼지위(猪 ) 안에 넣고 푹 찌거나 물에 넣고 문드러지게 끓여서 짓찧은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술로 먹는다. 이것을 수지환(水芝丸)이라고 한다[입문].

연자(蓮子, 연밥)
[脈]          12경맥의 혈기를 좋게 한다. 연밥을 달여서 늘 먹는 것이 좋다. 연밥을 가루를 내어 죽을 쑤어 늘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心臟]          심을 도와주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심기를 통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 그리고 어떤 처방은 연씨 600g을 검은 껍질이 있는 채로 닦아서 잘 짓찧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게 되어 있는데 찧어지지 않은 검은 껍질은 버린다. 다음 약간 닦은[炒] 감초 40g을 가루내어 넣고 섞는다.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조금씩 타 먹으면 허(虛)해진 심을 크게 보하고 기를 도와준다[거가필용].

[五臟六腑] 주로 5장의 기운이 부족한 것을 보한다. 가루내어 죽을 쑤어 늘 먹는다. 연뿌리를 우(藕)라고 하는데 쪄서 먹으면 5장을 아주 잘 보할 수 있다[본초].

연자육(蓮子肉, 연밥)
[大便]         이질을 멎게 하고 금구리를 치료한다. 껍질은 버리고 심(心)이 있는 채로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백일방].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2)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84 [아] 우치(牛齒, 소 이빨) 우황(牛黃) 1077
83 [아] 이(梨, 배) 이즙(梨汁, 배즙) 1068
82 [아] 유지피(柳枝皮, 버드나무가지껍질) 1014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1006
80 [아] 웅황(雄黃, 석웅황) 984
79 [아] 육종용(肉蓗蓉) 974
78 [아] 요(蓼, 여뀌) 요실(蓼實, 여뀌씨) 961
77 [아] 오령지(五靈脂) 958
76 [아] 연서( 鼠, 두더지) 951
75 [아] 율초(?草, 한삼덩굴) 948
74 [아] 익지(益智, 익지인) 익지인(益智仁) 940
73 [아] 와거자( 子, 부루씨) 935
72 [아] 염(鹽, 소금) 934
71 [아] 앵도동행근(櫻桃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934
70 [아] 연복자(燕覆子, 으름덩굴씨) 929
69 [아] 오배자(五倍子, 붉나무벌레집) 926
68 [아] 양기를 약하게 하는 것들[弱陽諸物] 926
67 [아] 아모(鵝毛, 거위털) 920
66 [아] 인삼(人蔘) 915
65 [아] 암순( , 메추리) 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