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매(烏梅)

HaanDoctor 2008.02.10 조회 수 699 추천 수 0
오매(烏梅)
[消渴]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소갈도 멎게 한다. 달여서 꿀을 좀 섞어 늘 먹어야 한다[본초].

[內傷]          먹은 국수가 소화되지 않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오매살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유취].

[夢]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를 만들어 먹으면 잠이 온다[본초].

[津液]         침을 많이 뱉는 것을 멎게 하는 데 차를 만들어 먹는다[본초].

[肺臟]         폐기를 걷어들이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탕액].

[大便]         장을 수렴하여[澁腸] 이질을 낫게 한다.  ○ 혈리(血痢)에는 백매육 1개와 좋은 차를 식초 끓인 물에 우려서 쓰는데 한번 먹으면 낫는다.  ○ 적리(赤痢)와 오래된 이질[久痢]에는 오매 달인 물에 꿀을 타서 먹는다.  ○ 휴식리(休息痢)에는 차와 건강을 함께 가루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본초].

[火]          골증을 치료하며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없앤다. 오매를 물에 달여 차처럼 마신다[본초].

[大腸腑] 장을 수렴하는데 달여서 차처럼 마신다[본초].

[癨亂]          곽란으로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물에 담갔다가 그 물에 꿀을 타서 마신다[본초].

[瘧疾]         열학으로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데 쓴다. 달여서 마신다[본초].

[痰飮]          담을 삭이고 갈증을 멈추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본초].

오매육(烏梅肉, 오매살)
[面]          거먼 반점[黑點], 거먼 사마귀[黑 ], 군살[蝕惡肉]을 없애는데 여러가지 다른 약들과 섞어서 바른다[본초].  ○ 얼굴에 주근깨가 생긴 데는 오매살, 양두나무가지(櫻桃枝), 주염열매(조협), 개구리밥(부평초, 뒷면이 자줏빛이 나는 것)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어 가루비누같이 만들어 쓰는데 이것으로 얼굴을 씻으면 주근깨가 절로 없어진다[입문].  ○ 백매(白梅)도 효과가 같다.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1:02)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84 [아] 여생지(驢生脂, 당나귀비계 날것) 726
83 [아] 여어(여어, 가물치) 여어담(여魚膽, 가물치쓸개) 여어장여어( 魚鰻 魚, 가물치와 뱀장어) 880
82 [아] 여회(藜灰, 명아주 태운 가루) 690
81 [아] 역류수(逆流水) 636
80 [아] 연교(連翹, 개나리열매) 741
79 [아] 연록피(烟鹿皮, 연기를 쏘인 사슴의 가죽) 680
78 [아] 연복자(燕覆子, 으름덩굴씨) 929
77 [아] 연서( 鼠, 두더지) 951
76 [아] 연석(煉石, 달군 돌) 772
75 [아] 연시(燕屎) 732
74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1006
73 [아] 염(鹽, 소금) 934
72 [아] 염초(焰硝) 766
71 [아] 염탕(鹽湯, 소금 끓인 물) 1305
70 [아] 영양각(羚羊角) 754
69 [아]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841
68 [아] 오계(烏鷄, 뼈 검은닭) 오골계(烏骨鷄, 뼈검은닭) 오웅계(烏雄 , 뼈검은수탉) 1110
67 [아] 오공(蜈蚣, 왕지네) 731
66 [아] 오령지(五靈脂) 958
[아] 오매(烏梅) 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