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초(醋, 식초)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29 추천 수 0
◈ 醋 ○ 초性溫味酸無毒主消癰腫破血暈除?塊堅積[本草] ○ 治産後血暈及諸失血過多血暈止心痛咽痛[本草] ○ 殺一切魚肉蔬菜毒[本草] ○ 醋亦謂之醯以有苦味故俗呼爲苦酒[本草] ○ 苦酒米醋是也[得效] ○ 不可多食損人肌藏及損人骨[本草] ○ 入藥當取二三年米醋良穀氣全故也小麥醋不及[本草] ○ 醋措也能措五味以適中也[入門]

☞ 초(醋, 식초)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옹종(癰腫)을 삭히고 혈훈(血暈)을 낫게 하며 징괴(?塊)와 단단한 적[堅積]을 헤친다[본초]. ○ 산후혈훈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를 많이 흘려서 생긴 혈훈증과 가슴앓이[心痛], 목구멍이 아픈 것[咽痛]을 치료한다[본초]. ○ 일체 물고기나 고기나 채소의 독을 없앤다[본초]. ○ 식초를 보고 신 것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쓴 맛이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고주(苦酒)라고 한다[본초]. ○ 고주(苦酒)는 쌀로 만든 식초를 말한다[득효]. ○ 많이 먹으면 살, 5장, 뼈가 상할 수 있다[본초]. ○ 약으로는 반드시 2-3년이 된 쌀초[米醋]를 써야 좋은데 그것은 곡식 기운이 많기 때문이다. 밀로 만든 식초는 이것보다 못하다[본초]. ○ '초(醋)'자는 조치한다는 '조(措)'자의 뜻과 같은 것인데 5가지 맛을 조절하여 알맞게 한다는 것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637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7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