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80 추천 수 0
◈ 飴糖 ○ 흑탕又云거믄엿性溫味甘主補虛乏益氣力潤五藏消痰止嗽[本草] ○ 飴糖又云膠飴是濕糖如厚蜜者[本草] ○ 以其色紫凝如琥珀色謂之膠飴色白而穀强者謂之?糖不入藥[湯液] ○ 飴卽軟糖也建中湯用之入脾[湯液] ○ 飴屬土成於火大發濕中之熱多食動脾風[丹心] ○ 諸米皆可作惟以?米作者入藥[本草]

☞ 이당(飴糖, 엿)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허약한 것을 보하며 기력을 돕고 5장을 눅여 주며 담(痰)을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한다[본초]. ○ 이당을 또한 교이(膠胎)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진한 꿀(厚蜜)과 같은 물엿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 자줏빛이 나는 것이 엉켜서 호박빛깔이 된 것을 교(膠)라고 한다. 빛이 희고 굳게 엉긴 것을 성당(?糖)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탕액]. ○ 엿이라고 할 때에는 무른 엿을 말한다. 건중탕(建中湯)에 넣어 쓰는데 그 기운은 비장으로 들어간다[탕액]. ○ 엿은 토(土)에 속하는 것이지만 불로 고아 만들었기 때문에 습한 곳에서도 열이 몹시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먹으면 비풍(脾風)이 동(動)할 수 있다[단심]. ○ 여러 가지 쌀로 다 만들 수 있으나 오직 찹쌀로 만든 것만 약으로 쓴다[본초].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이당(飴糖, 엿)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637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7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