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15 추천 수 0
◈ 稷米 ○ 피?性冷味甘無毒治熱益氣補不足[本草] ○ 多食發冷氣入穀之中最爲下八穀者黍稷稻粱禾麻菽麥也禾是粟苗麻是胡麻菽是大豆麥有大小?麥此諸穀之限也[本草] ○ 稷乃?之異名也稷亦穀之類似黍而小卽今之?米又謂之?爲五穀之長[入門] ○ 稷米堪爲飯不粘着其味淡今謂之?米[本草]

☞ 직미(稷米, 피쌀)

○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열을 치료하는데 기를 돕고 부족한 것을 보한다[본초]. ○ 많이 먹으면 찬 기운[冷氣]이 생긴다.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지 못한 것이다. 8가지 곡식이란 기장(黍), 피(稷), 벼(稻), 양미(粱),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를 말한다. 여기서 조는 조싹(粟苗)을 말하는 것이고 참깨는 검정참깨(胡麻)를 말하는 것이고 콩은 흰콩(大豆)을 말하는 것이고 맥은 보리쌀(大麥), 밀(小麥), 겉보리(?麥)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곡식의 전부이다[본초]. ○ 피(稷)는 채(?)의 딴 이름이다. 피도 역시 곡식의 한 가지인데 기장 비슷하면서 알이 잘다. 요즘은 검정 피쌀을 자(?)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5곡 가운데서 상품이다[입문]. ○ 피쌀(稷米)로도 밥을 지을 수 있으나 찰지지 못하고 맛이 슴슴하다[淡]. 이것은 요즘 검정 피쌀(?米)이라고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4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신국(神麴, 약누룩) 508
[곡식(穀部)] 광맥(?麥, 겉보리) 511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두부(豆腐) 564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