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禽部)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656 추천 수 0
◈ 白鵝肉 ○ 흰거유性凉無毒解五藏熱止渴主射工毒有蒼白二種主射工當以蒼者爲良主熱渴當以白者爲良[本草]

☞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 성질이 서늘하고[凉] 독은 없다. 5장의 열을 풀고 갈증을 멈추며 사공독(射工毒)을 치료한다. 푸른 것[蒼]과 흰 것[白]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사공독에는 푸른 것이 좋고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데는 흰 것이 좋다[본초]. 

◈ 膏 ○ 性微寒主耳卒聾 ○ 脂潤皮膚主手足?裂可合面脂用[本草]
☞ 백아고(白鵝膏, 거위기름) ○ 성질이 약간 차다[微寒]. 귀가 갑자기 먹은 데[耳卒聾] 효과가 있다. ○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주로 손발의 피부가 트는데 쓴다. 그리고 얼굴에 바르는 기름도 만든다[본초]. 

◈ 毛 ○ 主射工水毒又主?[本草]
☞ 백아모(白鵝毛) ○ 사공독과 물독[水毒]을 푼다. 또한 목메는 것[?]도 치료한다[본초]. 

◈ 尾罌 ○ 治?耳及聾[本草]
☞ 백아미앵(白鵝尾罌) ○ 귀앓이[?耳]와 귀머거리[聾]를 치료한다[본초]. 

◈ 卵 ○ 性溫補五藏補中益氣[本草]
☞ 백아란(白鵝卵) ○ 성질이 따뜻한데[溫] 5장을 보한다. 또한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돕는다[補中益氣][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새(禽部)] 절지(竊脂) 290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어구(魚狗) 303
[새(禽部)] 박로(搏勞) 310
[새(禽部)] 갈계(?鷄) 312
[새(禽部)] 제고취(??嘴) 317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새(禽部)] 창경(??) 328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새(禽部)] 자고(??, 자고새) 358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새(禽部)] 구욕(??) 380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2
[새(禽部)] 천아육(天鵝肉, 고니고기) 437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새(禽部)] 원앙(鴛鴦) 485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새(禽部)] 촉옥(??) 525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백설조(百舌鳥, 꾀꼬리) 537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