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죽순(竹筍)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540 추천 수 0
◈ 竹? ○ 듁슌性寒味甘無毒止消渴利水道除煩熱益氣 ○ 生南方竹木中發冷動氣不可多食[本草] ○ 消痰利水爽胃氣取蒸煮食之[入門] ○ ?類甚多滋味甚爽人喜食之然性冷難化不益脾胃宜少食之[食物]

☞ 죽순(竹筍) ○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을 멎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번열(煩熱)을 없애고 기를 돕는다. ○ 남방의 참대밭에서 나는데 속을 차게 하고 기를 동하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담을 삭히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위기(胃氣)를 고르게 한다. 죽순을 따서 쪄 먹거나 삶아 먹는다[입문]. ○ 참대순은 종류가 매우 많은데 맛이 좋고 먹으면 시원하므로 사람들이 먹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성질이 차서 소화가 잘 안 되고 비위에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적게 먹는 것이 좋다[식물].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형개(荊芥) 587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2
[채소(菜部)] 향유(香?, 노야기) 479
[채소(菜部)] 박하(薄荷) 78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2
[채소(菜部)] 임자(荏子, 들깨) 임자엽(荏子葉, 들깨잎) 72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채소(菜部)] 궐채(蕨菜, 고사리) 572
[채소(菜部)] 목숙(??, 거여목) 617
[채소(菜部)] 양하(?荷) 431
[채소(菜部)] 즙채(?菜, 멸) 507
[채소(菜部)] 운대(芸?, 유채) 운대자(芸?子, 유채씨) 731
[채소(菜部)] 군달(??, 근대) 503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채소(菜部)] 번루(?蔞) 642
[채소(菜部)] 첨호(甛瓠, 단호박) 767
[채소(菜部)] 목이(木耳, 나무버섯)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마고(?菰, 표고버섯) 석이(石耳) 균자(菌子, 땅버섯) 867
[채소(菜部)] 송이(松耳, 송이버섯) 669
[채소(菜部)] 해채(海菜, 미역) 714
[채소(菜部)] 누호(蔞蒿, 물쑥) 572
[채소(菜部)]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664
[채소(菜部)] 백채(白菜, 머위) 627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건강(乾薑, 마른생강) 120
[채소(菜部)]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