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한닥터 2015.03.05 조회 수 93 추천 수 0

소산(小蒜, 달래)


성질이 따뜻하고[溫](열(熱)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약간 있는데 이 약 기운은 비와 신으로 들어간다. 속을 덥히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고 고독을 치료한다. 뱀 이나 벌레한테 물린 데도 붙인다.


○ 일명 역근( 根) 또는 완자( 子)라고도 하는데 산에서 난다. 『이아(爾雅)』에 “채소에서 맛이 있는 것은 운몽 지방에서 나는 냄새가 나는 채소이다”고 씌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이것을 말한다. 뿌리와 잎은 마늘 같으나 가늘고 작으며 냄새가 몹시 난다. 음력 5월에 캔다[본초].

관련된 글
  1. 한의 상병명 해설 타태(소산)[墮胎(小産)] by 웅이아빠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731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채소(菜部)] 동규자(冬葵子, 돌아욱씨)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655
[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479
[채소(菜部)] 황촉규화(黃蜀葵花, 닥풀) 황촉규자(黃蜀葵子, 황촉규씨) 768
[채소(菜部)] 현실(?實, 비름씨) 580
[채소(菜部)] 마치현(馬齒?, 쇠비름) 마치현자(馬齒 子, 쇠비름씨) 659
[채소(菜部)] 만정(蔓菁, 순무) 만정자(蔓菁子, 순무씨) 574
[채소(菜部)] 내복(萊?, 무) 845
[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국물) 878
[채소(菜部)] 죽순(竹筍) 540
[채소(菜部)] 서과(西瓜, 수박) 695
[채소(菜部)] 첨과(甛瓜, 참외) 과체(瓜蒂, 참외꼭지) 과자(瓜子, 참외씨) 엽(葉, 참외잎) 화(花, 참외꽃) 962
[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707
[채소(菜部)] 호과(胡瓜, 오이) 호과엽(胡瓜葉, 오이잎)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719
[채소(菜部)] 호총(胡蔥 ) 106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854
[채소(菜部)] 개채(芥菜, 겨자와 갓) 788
[채소(菜部)] 와거(??, 상추) 829
[채소(菜部)] 백거(白?) 104
[채소(菜部)] 고거(苦?) 467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채소(菜部)] 제채(薺菜, 냉이)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686
[채소(菜部)] 사삼(沙參, 더덕) 783
[채소(菜部)] 제니(薺?) 503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
[채소(菜部)] 총백(蔥白, 파밑) 총실(蔥實, 파씨) 총근(蔥根, 파뿌리) 총엽(蔥葉, 파잎) 총화(蔥花, 파꽃) 호총(胡蔥) 762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