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택사(澤瀉)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486 추천 수 0
◈ 澤瀉 ○ 쇼ㅣ긔??불휘性寒味甘?無毒逐膀胱停水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通小腸止遺瀝 ○ 生水澤中處處有之八九月採根暴乾[本草] ○ 入足太陽經少陰經除濕之聖藥也然能瀉腎不可多服久服本經云多服病人眼[湯液] ○ 入藥酒浸一宿?出暴乾用仲景八味丸酒蒸用之[入門]

☞ 택사(澤瀉)

○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짜며[鹹] 독이 없다. 방광에 몰린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치료하고 방광의 열을 없애며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멎게 한다. ○ 택사는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8월,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 족태양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습을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聖藥]이다. 그러나 신기(腎氣)를 사하므로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을 수 없다. 『신농본초경』에는 많이 먹으면 눈병이 생기게 된다고 하였다[탕액]. ○ 약에 넣을 때에는 술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볕에 말려 쓴다. 중경이 쓴 팔미환(八味丸)에는 술로 축여 싸서 쓴다고 하였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택사(澤瀉) by 한닥터
  2. 본초정리 택사(澤瀉)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
[풀(草部)] 대극(大戟, 버들옻) 25
[풀(草部)] 귀구(鬼臼) 27
[풀(草部)] 사간(射干, 범부채) 28
[풀(草部)]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28
[풀(草部)] 산자고(山茨菰) 28
[풀(草部)] 골쇄보(骨碎補) 29
[풀(草部)] 비마자(?麻子, 아주까리) 30
[풀(草部)] 곡정초(穀精草) 30
[풀(草部)] 선복화(旋復花) 31
[풀(草部)] 호로파(胡蘆巴) 32
[풀(草部)] 작엽하초(昨葉荷草) 32
[풀(草部)] 사매(蛇?, 뱀딸기) 34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