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467 추천 수 0
◈ 蒲黃 ○ 부들???性平味甘無毒止九竅出血消瘀血主血痢及婦人崩漏帶下及兒枕急痛下血墮胎 ○ 生水澤中處處有之卽蒲槌中黃粉也伺其有便拂取之 ○ 要破血消腫卽生使要補血止血卽炒用其下篩後有赤滓名爲?炒用甚澁腸止瀉血及血痢[本草]

☞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9규(竅)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멎게 하고 어혈을 삭힌다. 혈리(血痢), 붕루, 대하, 후배앓이[兒枕], 하혈, 유산 등을 치료한다. ○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즉 부들꽃 방망이(蒲槌)에 있는 노란 가루이다. 가루가 날리기 전에 털어 쓴다. ○ 어혈을 헤치고 부은 것을 내리려면 생것을 쓴다. 혈을 보한다. 피를 멎게 하려면 볶아 쓴다. 채로 친 뒤에 빨간 찌꺼기(赤滓)가 있는 것은 꽃받침인데 볶아 쓰면 장(腸)을 몹시 조여들게 하므로 뒤로 피를 쏟는 것[瀉血]과 혈리(血痢)를 멎게 한다[본초]. 

◈ 香蒲 ○ 卽蒲黃苗也主五藏邪氣口中爛臭堅齒明目聰耳 ○ 此卽甘蒲作薦者春初生嫩茸紅白色生啖之甘脆以苦酒浸如食?大美可爲?或爲?[本草]

☞ 향포(香蒲) ○ 즉 부들의 싹(蒲黃苗)이다. 5장의 사기로 입 안이 문드러지면서[爛] 냄새나는 것을 치료하며 이를 든든하게[堅] 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 이것은 즉 감포(甘蒲)인데 돗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초봄에 나는 싹은 붉고 흰 것이며 생것을 씹으면 달고 연하다[脆]. 식초에 담그면 죽순맛과 같이 좋다. 절여서 먹고 김치도 해 먹는다[본초]. 

◈ 敗蒲席 ○ 主墜墮損瘀刺痛煮服之以久臥得人氣者爲佳[本草]

☞ 패포석(敗蒲席) ○ 떨어져서 상한 어혈로 쑤시면서 아픈 데 달여 먹는다. 오래 깔고 누워 있던 것으로서 사람의 냄새가 밴 것이 좋다㈜[본초]. [註] 이 내용은 현실성과 과학성이 없는 방법이다. 
관련된 글
  1. 경혈사전 포황(胞? , 2개 혈)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방정리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풀(草部)] 정중태(井中苔, 우물 속의 이끼) 78
[풀(草部)]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79
[풀(草部)] 율초( ?草, 한삼덩굴) 79
[풀(草部)] 감수(甘遂) 80
[풀(草部)] 예장(?腸) 한련자(旱蓮子) 연자초(蓮子草) 80
[풀(草部)] 필발(?撥) 81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
[풀(草部)] 백두구(白豆?) 84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초장초(酢漿草, 괴싱아) 84
[풀(草部)] 현호색(玄胡索) 8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풀(草部)] 홍초(紅草) 86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8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풀(草部)] 봉아술(蓬莪? , 봉출) 90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풀(草部)] 청대(靑黛) 96
[풀(草部)] 호황련(胡黃連) 96
[풀(草部)] 사군자(使君子) 100
[풀(草部)] 옥유(屋遊) 103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
[풀(草部)] 쇄양(鎖陽) 105
[풀(草部)] 수료(手蓼, 물여뀌) 수료자(水蓼子, 물여뀌씨) 106
[풀(草部)] 노회(盧?)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