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방기(防己)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388 추천 수 0
◈ 防己 ○ 性平溫味辛苦無毒治濕風口面?斜手足疼溫?熱氣利大小便療水腫風腫脚氣去膀胱熱散癰腫惡結諸?疥癬?瘡 ○ 防己本出漢中作車輻解黃實而香二月八月採根陰乾靑白虛軟者名木防己都不任用[本草] ○ 太陽本經藥通行十二經酒洗去皮治肺生用出華州者從一頭吹之氣從中貫如木通類[入門] ○ 防己瀉血中濕熱[東垣]

☞ 방기(防己) ○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풍, 습으로 입과 얼굴이 비뚤어진 것, 손발이 아픈 것, 온학과 열기를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수종(水腫), 풍종(風腫), 각기(脚氣)를 낫게 한다. 방광열을 없애며 옹종에 심하게 멍울이 진 것을 삭히고 여러 가지 와창(?瘡), 옴과 버짐, 충창(蟲瘡)에 쓴다. ○ 방기는 본래 한중(漢中)에서 나는데 수레바퀴살(車輻解)을 만든다. 열매는 노랗고 여물면 향기롭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푸르면서 흰빛이고 무게가 가뿐한 것을 목방기(木防己)라 하며 전혀 쓰지 못한다[본초]. ○ 태양경 본경의 약으로서 12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술에 씻어 껍질을 버린다. ○ 폐의 병을 낫게 하는 데는 생것을 쓴다. 화주(華州)에서 나는 것은 한쪽 끝으로 불어서 공기가 속대를 따라 나가는데 목통@)의 종류와 같다[입문]. ○ 방기는 혈 속의 습열(濕熱)을 사한다[동원]. 
관련된 글
  1. 저널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에 대한 오해와 실제 by 한닥터 *1
  2. 본초정리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방기(防己) by 한닥터
  5. 본초정리 방기(防己)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부자) 114
[풀(草部)] 학슬(鶴蝨, 담배풀열매) 114
[풀(草部)] 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117
[풀(草部)]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18
[풀(草部)] 초오(草烏, 바꽃) 125
[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129
[풀(草部)] 부자(附子) 139
[풀(草部)] 해아다(孩兒茶) 140
[풀(草部)] 축사밀(縮砂蜜, 사인) 143
[풀(草部)] 보골지(補骨脂) 파고지(破故紙) 144
[풀(草部)] 영릉향(零陵香) 150
[풀(草部)] 백렴(白? , 가위톱) 적렴(赤? ) 157
[풀(草部)] 나마자(羅摩子, 새박덩굴의 씨) 163
[풀(草部)] 마발(馬勃, 말버섯) 173
[풀(草部)] 울금(鬱金) 200
[풀(草部)] 대청(大靑) 301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아위(阿魏) 349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방기(防己) 388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전호(前胡) 390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3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풀(草部)] 산장(酸漿, 꽈리) 408
[풀(草部)] 난초(蘭草)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