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129 추천 수 0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성질은 서늘하고[ ]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오줌이 빨가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몸에 번열이 나는 것, 사림(沙淋)을 낫게 한다. 수기(水氣)를 내리며 주달(酒疸)을 낫게도 한다.

○ 집 근처에 심는데 흔히 만만한 싹을 캐서 끓여서 먹는다. 꽃망울을 따서 생절이를 만들어 먹으면 가슴을 시원하게 하는데 아주 좋다고 한다. 일명 녹총(鹿 )이라고도 하고 꽃은 의남(宜男)이라고도 하는데 임신부가 차고 다니면 아들을 낳게 된다.

○ 『양생론(養生論)』에 씌어 있기를 “원추리가 망우초(忘憂草)로 불리운 것이 여기서 나왔다”고 하였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훤초(萱草, 원추리) 훤초근(萱草根, 원초리뿌리)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산장(酸漿, 꽈리) 408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전호(前胡) 390
[풀(草部)] 방기(防己) 388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아위(阿魏) 349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대청(大靑) 301
[풀(草部)] 울금(鬱金) 200
[풀(草部)] 마발(馬勃, 말버섯) 173
[풀(草部)] 나마자(羅摩子, 새박덩굴의 씨) 163
[풀(草部)] 백렴(白? , 가위톱) 적렴(赤? ) 157
[풀(草部)] 영릉향(零陵香) 150
[풀(草部)] 보골지(補骨脂) 파고지(破故紙) 144
[풀(草部)] 축사밀(縮砂蜜, 사인) 143
[풀(草部)] 부자(附子) 139
[풀(草部)] 해아다(孩兒茶) 139
[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129
[풀(草部)] 초오(草烏, 바꽃) 125
[풀(草部)]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18
[풀(草部)] 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117
[풀(草部)] 사초근(莎草根, 향부자)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