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608 추천 수 0
◎ 製九鍼法 ○ 內經曰虛實之要九鍼最妙者爲其各有所宜也註云熱在頭身宜?鍼分肉氣滿宜圓鍼脈氣虛少宜?鍼瀉熱出血發泄痼病宜鋒鍼破癰腫出膿血宜?鍼調陰陽去暴痺宜圓利鍼治經絡中痛痺宜毫鍼痺深居骨解腰脊節?之間者宜長鍼虛風舍於骨解皮膚之間者宜大針此之謂各有所宜也 ○ 鍼形有九?之于左

☞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 『내경』에 "허(虛)하고 실(實)한 것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9가지 침이 있어야 좋다"고 한 것은 각각 그 침에 해당한 적응증이 있기 때문이다. 주해에 머리와 몸에 열이 나는 데는 참침(?鍼)이 좋고 분육(分肉)에 기가 몰린 데는 원침(圓鍼)이 좋으며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시침이 좋고 열을 내리고 피를 빼며 고질병을 치료하는 데는 봉침(鋒鍼)이 좋으며 곪은 것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는 피침(?鍼)이 좋고 음양을 고르게 하며 갑자기 생긴 비증(痺證)을 없애는 데는 원리침(圓利鍼)이 좋고 경락을 조절하고 통비(痛痺)를 치료하는 데는 호침(毫鍼)이 좋으며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데는 장침(長鍼)이 좋고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에 있는 데는 대침(大鍼)이 좋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바로 침에 따라 각각 해당한 적응증이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 침은 9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 一曰?鍼 ○ 長一寸六分頭大末銳主瀉陽氣[靈樞] ○ 平半寸長一寸六分頭大末銳主熱在頭分[易老]

☞ 1. 참침(?鍼) ○ 길이는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양기를 사(瀉)한다[영추]. ○ 너비는 5푼이고 길이가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머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 二曰圓鍼 ○ 長一寸六分鍼如卵形?摩分間不得傷肌肉以瀉分氣[靈樞] ○ 鋒如卵形肉分氣病宜用此[易老]

☞ 2. 원침(圓鍼) ○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다. 분육의 사이를 스치기만 하고 기육(肌肉)을 상하지 않게 하며 분육에 몰린 기를 사한다[영추]. ○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는데 분육의 기병(氣病)에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 三曰?鍼 ○ 長三寸半鋒如黍粟之銳主按脈勿陷以致其氣[易老] ○ 脈氣虛少者宜此[易老]

☞ 3. 시침(?鍼) ○ 길이는 3치 5푼이고 침 끝이 기장이나 조의 가스랑이와 같이 뾰족하다. 경맥을 눌러 들어가지 않게 하고 찔러서 경맥의 기를 제대로 돌게 한다[역로]. ○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 四曰鋒鍼 ○ 長一寸六分刃三隅以發痼疾[易老] ○ 瀉熱出血發泄痼疾[易老]

☞ 4. 봉침(鋒鍼) ○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날은 세모꼴이다.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 열을 내리고 피를 빼어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 五曰?鍼 ○ 長四寸廣二分半末如劒鋒以取大膿[易老] ○ 一名破鍼用以破癰腫出膿血[易老]

☞ 5. 피침(?鍼) ○ 길이는 4치이고 너비는 2푼 5리이며 끝은 칼날과 같다. 크게 곪은 것을 짼다[역로]. ○ 일명 파침(破鍼)이라고도 하며 옹종(癰腫)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 쓴다[역로]. 

? 六曰圓利鍼 ○ 長一寸六分大如釐且圓且銳中身微大以取暴氣[易老] ○ 尖如毫且圓利調陰陽去暴氣[易老]

☞ 6. 원리침(圓利鍼) ○ 길이가 1치 6푼이고 굵기는 소꼬리털 같고 둥글며 예리하고 침날의 가운데는 약간 굵다. 갑자기 생긴 사기[暴氣]를 없앤다[역로]. ○ 침 끝은 털끝같이 가늘고 둥글며 잘 돌므로 음양을 고르게 하고 갑자기 생긴 사기를 없앤다[역로]. 

? 七曰毫鍼 ○ 長三寸六分尖如蚊?喙靜以徐往微以久留以取痛痺[易老] ○ 尖如蚊?喙調經絡去痛痺[易老]

☞ 7. 호침(毫鍼) ○ 길이는 3치 6푼이고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같이 날카로우며 천천히 놓고 오래 꽂아 둔다. 통비(痛痺)를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 같은데 경락을 고르게 하고 통비를 없앤다[역로]. 

? 八曰長鍼 ○ 長七寸鋒利身薄可以取遠痺[易老] ○ 鋒利故取痺深居骨解腰脊節?之間者[易老]

☞ 8. 장침(長鍼) ○ 길이는 7치이고 침 끝이 예리하다. 오래된 비증을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이 예리하므로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것을 없앤다[역로]. 

? 九曰大針 ○ 長四寸尖如挺其鋒微圓以瀉機關之水[易老] ○ 一名?鍼取風虛舍于骨解皮膚之間者[易老]

☞ 9. 대침(大鍼) ○ 길이는 4치이고 끝은 못과 같으며 침날은 약간 둥글다. 장기의 물을 뺀다[역로]. ○ 쉬침(?鍼)이라고도 하는데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 사이에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침뜸의 꺼려야 할 것[鍼灸禁忌] 380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5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6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