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44 추천 수 0
◎ 取火法 ○ 古來用火灸病忌八般木火(松木栢木竹木楡木桑木棗木枳木橘木)今則不用木火只以淸油點燈燈上燒艾莖點灸兼滋潤灸瘡至愈已來且無疼痛用蠟燭更佳 ○ 又火珠耀日以艾承之遂得火出此火灸病爲良次有火照耀日以艾引之便得火出此火亦可火照卽火鏡也[局方] ○ 凡取火者宜敲石取火今人以鐵鈍刀擊石先以紙灰爲火丸在下承之亦得火可用[資生]

☞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 예로부터 뜸을 뜨는 데는 8가지 나무(소나무, 측백나무, 참대나무, 느릅나무, 뽕나무, 대추나무, 탱자나무, 귤나무)로는 불을 붙이지 말라고 하였다. 지금은 나무불을 쓰지 않으며 참기름으로 등불을 만들어 그 등불로 쑥대에 불을 붙여 뜸봉에 불을 붙인다. 그러면 뜸자리를 눅혀주며 뜸자리가 나을 때까지 아프지 않다. 벌밀로 만든 초[蠟燭]가 더 좋다. ○ 또한 돋보기로 햇빛을 쪼이면서 쑥에 불을 붙여 뜸을 떠도 좋다. 그 다음 화조(火照)에 햇빛을 쪼이면서 쑥에 불을 붙이기도 한다. 화조는 즉 화경(火鏡)이다[국방]. ○ 돌을 마주쳐서 불을 붙여도 좋은데 지금 사람들은 부시를 쓴다. 잿물먹인 종이로 부시깃을 만들어 불을 붙여 쓸 수 있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512
[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511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자세와 방향을 정하는 법[坐向法] 509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90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9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8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