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05 추천 수 0
◎ 療灸瘡法 ○ 凡着灸治病?住火便用赤皮?薄荷煎湯溫溫淋洗灸瘡令驅逐風氣於瘡口內出兼令經脈往來不滯於瘡下若灸瘡退痂後取東南桃枝及靑嫩柳枝等分煎湯溫洗灸瘡能護灸瘡中諸風若瘡內黑爛潰者加胡?煎洗自能生好肉若疼痛可忍加黃連煎洗立有神效[局方] ○ 凡貼灸瘡春用柳絮夏用竹膜秋用新綿冬用兎腹下白細毛猫兒腹下毛更佳[資生] ○ 灸瘡不差牛屎燒熱灰付之 ○ 白茅香花搗付之 ○ 楸葉或根皮搗爲末付之[本草] ○ 灸瘡久不合黃連甘草節白芷黃丹香油同煎膏貼之[丹心] ○ 灸瘡腫痛取?白切與猪脂及苦酒浸經宿微火煎去滓付之 ○ 伏龍肝煮水令熱淋漬之[本草] ○ 灸瘡出血不止藍靑布燒灰付之 ○ ?腸草搗付之 ○ 百草霜蚌粉爲末乾?[本草] ○ 灸瘡久不差宜用內托黃?元止痛生肌散[諸方]

☞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 뜸을 떠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불이 꺼진 다음에 곧 껍질이 벌건 파와 박하를 달인 물로 뜸자리를 따뜻하게 씻으면 뜸자리 속으로부터 풍사가 몰려 나오고 경맥이 잘 통하게 된다. 뜸자리의 헌데딱지가 떨어진 다음에 동남쪽으로 뻗은 복숭아나무가지와 푸르고 연한 버드나무가지 각각 같은 양을 달인 물로 씻으면 뜸자리 속에 있던 모든 풍사를 없앨 수 있다. 만일 뜸자리가 거멓게 되면서 허는 데는 위의 약에 고수[胡?]를 더 넣고 달인 물로 씻으면 새살이 살아나온다. 몹시 아픈 데는 위의 약에 황련(黃連)을 더 넣고 달인 물로 씻으면 곧 낫는다[국방]. ○ 뜸자리가 헐었으면 봄에는 버들솜, 여름에는 대청[竹膜], 가을에는 새솜[新綿], 겨울에는 토끼 배의 희고 가는 털을 쓴다. 고양이 배의 털을 붙이는 것이 더 좋다[자생]. ○ 뜸자리가 헌 것이 낫지 않는 데는 우시(牛屎) 태운 재를 덥게 하여 붙인다. ○ 백모향(白茅香)의 꽃을 찧어서 붙인다. ○ 가래나무(추목)잎이나 뿌리껍질을 찧어서 가루내어 붙인다[본초]. ○ 뜸자리가 헌 것이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 데는 황련, 감초마디, 백지,황단, 참기름을 같이 달여 만든 고약을 붙인다[단심]. ○ 뜸자리가 부으면서 아픈 데는 염교흰밑(?白)을 썰어서 돼지기름(저지)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에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바른다. ○ 복룡간 달인 물을 덥게 하여 씻고 담근다[본초]. ○ 뜸자리가 헐면서 피가 계속 나오는 데는 쪽물 들인 푸른 천 태운 재를 붙인다. ○ 예장초를 짓찧어 붙인다. ○ 백초상과 진주조개껍질을 가루내어 뿌려 준다[본초]. ○ 뜸자리가 헐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는 내탁황기원과 지통생기산을 쓰는 것이 좋다[처방]. 

? 內托黃?元 ○ 治鍼灸傷經絡流膿不止久不差黃?八兩當三兩肉桂木香乳香沈香各一兩右爲末以菉豆粉四兩薑汁煮糊和丸梧子大熟水下五七十丸[得效]

☞ 내탁황기원(內託黃?元) ○ 침과 뜸에 경락이 상하여 고름이 계속 나오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기 300g, 당귀 120g, 육계, 목향, 유향, 침향,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녹두가루 120g과 함께 생강즙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매번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 止痛生肌散 ○ 治同上牡蠣粉五錢寒水石?滑石各二錢右爲末先以藥水洗後?之[資生]

☞ 지통생기산(止痛生肌散) ○ 적응증은 위와 같다. ○ 모려@) 20g, 한수석(달군 것), 활석@) 각각 8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먼저 약물로 씻고 뿌려 준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512
[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511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자세와 방향을 정하는 법[坐向法] 509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90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9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8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